뉴스

10·15 대책에 이달 수도권 아파트 분양시장 전망 냉각

2025년 11월 아파트분양전망지수 (사진=주택산업연구원 제공, 연합뉴스)

서울 25개 구 전역과 경기 12곳을 규제지역으로 묶은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의 여파로 이달 수도권 아파트 분양 시장이 냉각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지난달 20∼29일 주택 사업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11월 전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지난달 대비 19.4포인트(p) 하락한 72.1로 집계됐다고 6일 밝혔습니다.

분양전망지수가 100을 넘으면 분양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사업자가 더 많다는 것을, 100 미만이면 부정적으로 보는 사업자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이달 수도권의 분양전망지수는 지난달보다 26.9포인트 급락한 73.3을 나타냈습니다.

지역별 하락 폭은 서울(84.8) 26.3포인트, 경기(69.7) 27.4포인트, 인천(65.2) 27.1포인트였습니다.

이는 지난달 발표된 10·15대책에서 서울·경기의 규제지역을 확대하고, 금융 규제도 대폭 강화하는 등 고강도 주택 수요 억제책을 시행한 데 따른 영향으로 보입니다.

주산연은 "초강력 규제에 더해 보유세 등 세제 개편 가능성까지 거론되면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전역의 아파트 매수 심리가 위축되고 있다"며 "당분간 분양 시장 전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이달 비수도권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지난달보다 17.7포인트 하락한 71.9를 기록했습니다.

지역별로 울산(71.4), 강원(55.6), 충북(55.6)의 하락 폭이 30포인트대로 큰 편이었습니다.

주산연은 "수도권에서 강력한 규제 여파와 '똘똘한 한 채' 현상의 가속화로 다주택자의 비수도권 주택 매도가 증가할 것으로 우려되면서 비수도권 또한 대부분 지역에서 하락 전망됐다"고 분석했습니다.

아울러 이달 아파트 분양가격전망지수(100.0)와 분양물량전망지수(79.7)는 지난달 대비 각각 6.2포인트, 9.7포인트 떨어졌습니다.

이는 단기적으로 규제에 따른 수요 위축과 신규 주택 건설 물량 감소가 예상되는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반면 미분양물량전망지수(98.5)는 8.9포인트 올랐습니다.

주산연은 "주택 공급 전망이 지난달과 비교해 전반적으로 악화했다"며 "사업자들의 신규 공급 계획이 보수적으로 전환되고, 수도권을 중심으로 실수요자들이 청약 관망세에 들어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