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내년 3월 한미훈련 후 북미회담 가능성"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만나자고 해도 응하지 않고 있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물밑에선 미국과의 만남에 대비하고 있단 동향을 국가 정보원이 포착했습니다. 국정원은 북미 정상 회담 가능성이 높다면서, 시점은 내년 3월이 유력할 걸로 내다봤습니다.

민경호 기자입니다.

<기자>

국가정보원 대상 국회 국정감사.

국정원은 경주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원했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북미 회동이 불발된 데 대해, 물밑에선 북한이 미국과의 대화에 대비해 온 동향이 다양한 경로로 확인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지난 9월, 김 위원장이 최고인민회의에서 비핵화를 망상으로 치부하면서 그걸 논의하지 않는 걸 전제로 미국과 대화 의사를 밝힌 이후, 북한이 핵무장에 대한 직접 발언을 자제하는 등 발언 수위를 조절해 왔고, APEC 직전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러시아 등을 방문할 때까지도 막판 고심의 흔적이 확인됐다는 겁니다.

[이성권/국회 정보위원 (국민의힘) : 국정원은 김정은이 대미 대화 의지를 갖고 있으며, 향후 조건이 갖춰지면 미국과의 접촉에 나설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북미 정상회담에 대해 국정원은 그 가능성이 높다고 봤습니다.

시점은 '내년 한미 연합훈련 이후'로 점쳤습니다.

[박선원/국회 정보위원 (더불어민주당) : 내년 3월 한미 연합훈련 이후 열병식을 개최하는 한편 동시에 북미 정상회담도 추진하지 않을까 전망하고 있습니다.]

다만, 국정원은 북한이 해외 공관에 남한 관련 단체를 접촉하지 말라고 금지령을 내리는 등 남북 관계 개선의 여지를 계속해 차단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남북은 서로 다른 두 개 국가란 기조를 헌법에 반영하는 개헌을 북한이 할 수 있다고도 봤습니다.

한편, 국정원은 김 위원장이 최근 장시간 이동이나 행사도 무리 없이 소화하고 있다며, 건강에 큰 이상은 없는 걸로 파악된다고 분석했습니다.

(영상취재 : 공진구, 영상편집 : 최진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