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럼프 연회장' 거액 기부 기업들, 정부 계약 뭉칫돈 수주

'트럼프 연회장' 거액 기부 기업들, 정부 계약 뭉칫돈 수주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계획한 연회장 건설을 위해 철거 공사가 진행 중인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이스트윙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숙원이었던 백악관 연회장 건설에 뭉칫돈을 기부했던 기업들이 연방정부 계약을 수주하는 등 정권과 밀접한 관련을 맺어온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연회장 건설에는 구글, 아마존, 애플, 록히드마틴 등 이름만 대면 알만한 대기업들이 대거 기부했는데, 이들이 정권의 입맛에 맞춰 돈을 내놓는 대신 모종의 특혜를 받은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는 것입니다.

워싱턴포스트는 현지시간 3일 소비자단체 '퍼블릭 시티즌'의 보고서를 인용해 연회장 건설에 기부한 30여 개 기업과 개인 기부자가 지난 5년간 정부 계약으로 2천790억 달러, 약 401조 원을 수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들은 같은 기간 정치 기부금이나 로비 비용으로 16억 달러, 약 2조 3천억 원을 지출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기부 명단에 공개된 24개 기업 중 14곳은 트럼프 2기 들어 불공정한 노동 관행이나 소비자 기만 등으로 연방 정부의 제재에 직면했거나 제재 유예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마존의 경우 법무부로부터 근로자의 부상 사실을 은폐한 혐의를 받아왔고, 애플은 노동권 침해 혐의를 받았지만 지난 9월 노동관계위원회가 관련 혐의를 철회한 바 있습니다.

로버트 와이즈먼 퍼블릭 시티즌 공동대표는 성명을 통해 "이들은 연방정부와 막대한 이해관계를 맺고 있으며, 분명히 트럼프 행정부의 호의를 바라고 있다"며 "트럼프의 변덕을 지원하기 위한 수백만 달러는 조달과 정부 규제에 걸린 수십억 달러 비용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고 꼬집었습니다.

와이즈먼은 특히 "백악관이 '국민의 집'이라면 건설비용도 대통령이 애정을 가진 프로젝트에 기부해 이익을 얻는 민간기업이나 억만장자가 아닌 국민이 부담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와이즈먼은 공공건물이 공적자금으로 건설되어야지만 미국 유권자들이 의회 대표를 통해 무엇을 어떻게 건설할지 발언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도 짚었습니다.

그러면서 이들 기업이 트럼프 대통령이 잘못된 애착을 가진 프로젝트에 대한 기부를 철회해야 한다고도 촉구했습니다.

백악관은 이 같은 지적에 대해 민간 기부금은 납세자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해 상충이라고 주장하는 자들은 납세자들이 해당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하면 그것도 불평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퍼블릭 시티즌 보고서에 언급된 기업 중 록히드마틴과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등 세 곳만 입장 요청에 응했다고 전했습니다.

록히드마틴은 최첨단 기술로 군과 동맹을 지원하기 위해 앞선 모든 행정부와도 협력관계를 유지해왔으며, 연방정부와 협력에 있어서 관련 법과 규정을 준수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워싱턴포스트가 ABC뉴스와 함께 여론조사기관 입소스에 의뢰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56%는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 이스트윙을 철거하고 연회장을 짓는 데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