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7대 수출품 중 하나이자 한국 제조업 경쟁력의 근간으로 손꼽히는 철강. 
  
 
  
 올해 미국이 부과한 50% 품목 관세와 최근 몇 년간 중국산 공급 과잉으로 인해 막다른 골목에 몰렸다는 위기감이 팽배합니다. 
  
 
  
 정부가 철강 산업의 돌파구를 모색하는 '고도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먼저, 형강이나 강관처럼 중국발 물량이 쏟아지는 품목에 대해서는 기업의 선제적인 설비 규모 조정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또 석유화학 산업의 구조개편 사례를 참고해, 기업의 자발적 사업 재편이 촉진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의 품목 관세 부과로 직격타를 맞은 기업들에 대한 지원책도 함께 발표됐습니다. 
  
 
  
 [구윤철/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철강 등 관세 피해 기업을 대상으로 이미 발표된 2 차 보존사업 긴급 저리 융자 신설 등에 더하여 4천억 원 규모의 수출 공급망 강화 보증도 추가로 신설하여 총 5700억 원의 금융 지원을 공급합니다.] 
  
 
  
 반덤핑 조치는 공정하게 지속하면서, 제3국 등을 우회해 들어오는 덤핑 차단 제도 기반을 한층 강화하겠다고도 약속했습니다. 
  
 
  
 국산 범용 철강으로 국내외 경쟁력을 유지하긴 어렵다는 판단 아래, 철강 산업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고부가, 저탄소 중심 구조로의 전환도 지원합니다. 
  
 
  
 [김정관/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특수 탄소강 R&D 로드맵을 수립하고 2천억 원 규모의 R&D 자금 지원을 통해 미래 유망 시장을 선점해 나가겠습니다.] 
  
 
  
 특히 고로 대비 탄소 배출량을 90% 줄일 수 있는 수소환원제철 전환이 필요한 만큼, 지난 6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실증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철강 산업에 특화된 AI 모델 개발로, 제조 공정의 효율성과 안정성도 높여나가겠다는 청사진도 제시됐습니다. 
  
 
  
 이 같은 산업 재편 과정에서 타격이 예상되는 포항, 광양, 당진 등 철강 집적지에는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통한 지역경제 지원을 병행합니다. 
  
 
  
 산업부는 이와 같은 지원책의 주요 내용을 철강업계 CEO들과의 간담회에서 공유하고 업계 의견을 수렴하기로 했습니다. 
  
 
  
 (취재 : 홍영재, 영상취재 : 정성화·조창현, 영상편집 : 윤태호,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