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 외교 부문의 원로이자, 김정일 집권기 대외적 국가수반 역할을 했던 김영남 전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사망했습니다. 정부는 통일부 장관 명의의 조의문을 발표했습니다. 
  
 
  
 안정식 북한전문기자입니다. 
  
 
  
 <기자> 
  
 
  
 김일성·김정일·김정은 3대에 걸쳐 북한 외교에서 중책을 맡았던 김영남 전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어제 97살의 나이로 사망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김영남이 암성중독에 의한 다장기 부전으로 사망했다고 전했습니다. 
  
 
  
 김정은 총비서는 오늘(4일) 새벽 1시 주요 간부들과 함께 김영남의 시신이 안치된 평양시 보통강구역 서장회관을 찾아 조문했습니다. 
  
 
  
 김영남의 장례는 국장으로 치러지며, 국가장의위원회에는 김정은을 비롯해 박태성 내각 총리 등 고위 간부들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김영남은 노동당 국제부와 외무성에서 잔뼈가 굵은 외교관 출신으로 김일성 집권 시기부터 외교 요직을 두루 거친 북한 외교의 산증인입니다. 
  
 
  
 김정일 집권기에는 대외활동을 기피했던 김정일을 대신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으로 대외적 국가수반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때에는 북한 고위급 대표단을 이끌고 김여정과 함께 남한을 방문해 문재인 당시 대통령을 면담하기도 했습니다. 
  
 
  
 정부는 정동영 통일부 장관 명의로 애도의 뜻을 표한다는 조의문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과거 북측 고위인사의 사망 때 북한에 조전을 보내 조의를 표명한 바 있지만, 이번에는 남북 통신선 단절로 통일부 장관 명의의 조의문을 발표했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 위원양)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