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경찰청  
  
 
  투자사기 조직의 의뢰를 받고 상품권 거래를 가장하는 수법으로 100억 원대 범죄 수익금을 세탁한 일당 13명이 모두 구속됐습니다.
부산경찰청 사이버수사과는 형법상 범죄단체조직, 통신사기피해환급법 위반 등 혐의로 자금세탁 조직 총책인 30대 여성 A 씨, 중간 관리책인 20대 남성 B 씨, 조직원 11명을 구속했다고 오늘(4일) 밝혔습니다.
A 씨 등은 2024년 8월부터 올해 2월까지 투자사기나 로맨스 스캠(연애 빙자 사기) 등으로 발생한 범죄 수익금 100억 원을 자신들의 개인사업자 계좌 10개로 이체받은 뒤 정상적인 상품권 매매대금인 것처럼 인출하는 수법으로 세탁한 혐의를 받습니다.
A 씨 조직은 다수의 투자사기 조직으로부터 자금세탁을 의뢰받고 조직적으로 범행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A 씨는 고향 후배인 B 씨를 통해 범죄 수익금을 인출할 조직원을 포섭한 데 이어 서울에 속소 4곳을 마련한 뒤 행동강령을 두고 조직을 운영했습니다.
특히 경찰 수사에 대비해 조직원들에게 진술 방법을 미리 교육하거나 증거 인멸을 지시하기도 했습니다.
 
     
   조직원들은 자신들이 개설한 개인사업자 계좌로 피해금이 입금되면 주요 은행 43개 지점을 돌며 현금이나 수표로 인출해 A 씨와 B 씨에게 전달했습니다.
A 씨는 인출 금액의 0.8~1%에 해당하는 돈을 조직원들에게 수당으로 지급한 뒤 자금세탁을 의뢰한 조직이 보낸 인물들에게 나머지 돈을 건넸습니다.
이런 식으로 범행을 이어간 A 씨 일당은 모두 10억 원의 수익을 챙긴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경찰은 이번 사건에 앞서 투자자 20명을 허위 증권 거래 사이트에 가입시켜 6억 원 이상을 챙긴 사기 사건을 수사하다 A 씨 일당을 수사하기 시작했습니다.
투자사기 피해금을 추적해보니 피해금이 A 씨 조직의 상품권 거래용 계좌로 이체돼 출금된 게 확인됐습니다.
문제의 계좌는 조직원들이 은행에서 계좌를 개설할 때 자신들이 상품권을 거래하는 개인사업자라고 속여 만든 것이었습니다.
상품권 거래용으로 개인사업자 계좌를 개설하면 거액의 자금이 자주 입출금되더라도 당국의 의심을 피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A 씨 일당에게 범죄수익금 세탁을 의뢰한 투자사기 조직에 대한 추적을 계속하고 있다"며 "최근 피싱 범죄 수법이 날로 진화하고 있어 범죄로 의심되면 즉시 경찰에 신고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부산경찰청 제공, 연합뉴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