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중 정상회담이 끝난 지 사흘 만에, 미국 재무장관이 중국을 신뢰할 수 없는 상대라고 비판했습니다. 중국에 관세를 부과한 건 정당하다고도 했는데, 정작 트럼프 관세 정책을 지지하는 미국 국민은 3분의 1에 불과한 걸로 나타났습니다.
워싱턴에서 김용태 특파원입니다.
<기자>
미중 정상회담이 끝나자마자 베선트 미 재무장관이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행태를 비판했습니다.
전 세계를 위협한 조치였다는 겁니다.
[스콧 베선트/미국 재무장관 (CNN 인터뷰) : 중국과 분리하고 싶지 않지만, 위험은 줄여야 합니다. 중국은 많은 영역에서 신뢰할 수 없는 상대라는 것을 보여줬습니다.]
또, 희토류 통제는 비상사태였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부과한 건 정당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스콧 베선트/미국 재무장관 (폭스뉴스 인터뷰) : 트럼프 대통령은 국제비상경제권한법 권한으로 대응할 수 있었습니다. 그것이 비상시기에 비상 권한을 사용한 것이 아니라면, 무엇이 비상 권한이겠습니까?]
모레(5일) 미 연방대법원이 국제비상경제권한법에 근거한 '트럼프 관세'가 적법한지 심리를 시작하는 가운데 정부 측 논리를 대변하고 나선 셈입니다.
트럼프 대통령도 예고했던 직접 방청은 하지 않겠지만 재판에서 승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관세가 없다면) 국가 안보가 위태로운 상황입니다. 연방대법원 역사상 가장 큰 결정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위법 판결을 촉구하는 의견서가 잇따르는 것으로 전해졌고 미 언론 여론조사에선 트럼프 관세 정책 지지도가 33%에 그쳐 국정 지지율보다도 8%p나 낮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연일 관세 효과를 홍보하고 있지만, 물가 상승 우려 탓에 지지도가 낮게 나온 것으로 해석됩니다.
미 CNBC는 관세 여파로 연말 선물 구입비가 1인당 19만 원 정도 오를 수 있다는 대출 업체의 분석을 전하기도 했습니다.
(영상취재 : 박은하, 영상편집 : 김종미)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