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엔비디아가 우리나라에 공급하겠다는 GPU 26만 장. 언제 도입되고, 또 어떤 용도로 쓰일지가 관심입니다.
GPU 도입이 우리 AI 산업에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김관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엔비디아가 한국에 공급하기로 한 그래픽처리장치, GPU는 모두 26만 장입니다.
수십만 장씩 보유한 미국 빅테크들에 비해선 적지만, 영국이 내년까지 확보했다고 밝힌 12만 장의 두 배를 넘는 수준입니다.
한 장에 수천만 원에 달하는 GPU 확보를 위해 전 세계 정부와 기업들이 사활을 거는 상황에서, 이번 합의로 AI 산업 발전을 위한 토대는 마련된 것으로 평가됩니다.
챗봇이나 AI 비서 형태인 소프트웨어로서의 AI를 넘어, 로봇과 자동차 등 물리적 세계에 AI를 접목한 '피지컬 AI' 강자가 되기 위해선 기초 인프라인 GPU를 정부가 밝힌 2030년까지 순조롭게 도입하는 게 1차 관건입니다.
[김정호/카이스트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 (GPU) 26만 대를 줌으로써 기업들 네다섯 군데가 AI 개발과 서비스를 할 수 있는 토대를 줬다, 기회를 줬다 이렇게 1차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젠슨 황은 제조와 소프트웨어 역량, AI 기술을 갖춘 한국을 '피지컬 AI'를 발전시키는 데 최적의 실험장으로 꼽았습니다.
[젠슨 황/엔비디아 CEO : 한국에겐 특별한 기회입니다. 성공을 위해 필요한 세 가지 핵심적이고 필수적인 역량을 모두 갖춘 국가는 전 세계에 거의 없습니다.]
도입 이후의 활용 방안은 더 중요합니다.
[최태원/SK그룹 회장 : 메모리 칩 생산 공정을 완전 자율화를 해서 오토노머스 팩토리를 만들 수 있는 형태로 우리 제조 AI를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대기업뿐만 아니라 정부 연구기관이나 스타트업들도 AI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인재 유출을 막고 AI 생태계를 탄탄히 조성하는 게 필요합니다.
막대한 GPU를 구동하려면 전력 생산과 공급망을 획기적으로 늘려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윤형, 영상편집 : 유미라)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