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9월 19일 제3차 과학기술인재 유출방지 및 유치 TF 회의
우리나라 석·박사급 이공계 인력 10명 중 4명은 외국으로 떠날 의향이 있거나 실제로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들은 주로 금전 요인(보상), 연구 환경 등의 측면에서 불만이 컸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3일) 공개한 '이공계 인재 해외 유출 결정요인과 정책적 대응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체류 중인 우리나라 이공계 석·박사급 1천916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42.9%가 "향후 3년 내 외국 이직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이 가운데 5.9%는 구체적 외국 이직 계획을 수립했거나 현재 인터뷰 등을 진행 중이었습니다.
분야별로는 바이오·제약·의료기(48.7%)에서 이직 고려율이 가장 높았고, IT·소프트웨어·통신(44.9%)뿐 아니라 우리나라가 경쟁력 우위에 있는 조선·플랜트·에너지(43.5%)에서도 40%를 넘었습니다.
연령대 중에서는 20대(72.4%)·30대(61.1%)·40대(44.3%) 순으로 해외 이직 의향이 강했고, 실제로 계획을 짜고 있는 인력의 비율은 30대(10.4%)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이직을 원하는 이유(1∼3순위)로는 66.7%(3순위까지 합)가 금전적 이유를 꼽았고, 연구 생태계·네트워크(61.1%)·기회 보장(48.8%)·자녀 교육(33.4%)·정주 여건(26.1%)이 뒤를 이었습니다.
해외 체류 우리나라 이공계 인력(778명)까지 더해 설문한 결과를 보면, 연구생태계·근무 여건·연봉 항목에서 해외 체류자의 만족도가 국내 체류자의 약 1.5배를 웃돌았습니다.
근무 연수별 평균 연봉 역시 국내외 격차가 컸습니다.
해외 체류자는 13년 차에 가장 많은 36만 6천 달러룰 받지만, 국내 체류자는 19년 차에 최고점(12만 7천 달러)을 찍었습니다.
최준 한은 거시분석팀 과장은 "이공계 인재의 해외 유출을 막기 위해 무엇보다 성과에 기반하고 유연한 임금·보상체계로 바꿔야 한다"며 "정부도 인적자본 투자에 세제 인센티브와 제도적 지원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석사급 연구 인력이 국내에서도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예측할 수 있는 경력 트랙을 갖추고, 해외 연구기관·연구자와의 교류도 늘리는 등 연구·개발(R&D) 역량도 키워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은행 제공, 연합뉴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