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동차 관세 15%로 인하…"농산물은 방어"

<앵커>

정부는 연간 최대 200억 달러의 투자는 우리 외환시장에 충격을 주지 않는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관세 협상 타결에 따라 자동차 관세는 25%에서 15%로 내려가 한숨을 돌렸습니다.

이어서 박현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대미 투자액 3천5백억 달러 가운데 현금 비중은 2천억 달러입니다.

연간 2백억 달러라는 한도를 설정했습니다.

연간 200억 달러는 그동안 정부와 한국은행이 우리 외환시장이 충격을 받지 않고 감내할 수 있는 최대한도로 설정한 금액입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 : 외환시장에 주는 큰 부담 없이 조달할 수 있는 금액이 150에서 200억 달러라고 저희가 그랬는데 저희들이 자체적으로 보유한 자산에서 나오는 이자나 배당 이런 것을 활용해 가지고.]

그래도 시장이 불안할 경우 납입액은 조정 가능하도록 해서 안전장치를 마련했습니다.

그동안 우리 측이 희망하는 금액으로 거론됐던 연간 70억 달러에서 150억 달러보다는 훨씬 많습니다.

원리금 상환 전까지 수익 배분은 5대 5로 합의해 미국과 일본의 합의 수준과 맞췄습니다.

상업적 합리성은 양해각서에 명시해 원금 회수 장치를 마련했다는 게 정부의 설명입니다.

관세협의가 타결됨에 따라 가장 피해가 컸던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관세는 기존 25%에서 15%로 내려가게 됐습니다.

현대차그룹은 즉각 자동차 관세 인하에 안도감을 나타내며 경쟁력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환영 입장을 밝혔습니다.

상호관세도 15%로 유지됩니다.

의약품과 목재 등에 대해서는 최혜국 대우를 받기로 했고, 항공기 부품과 의약품에 대해선 무관세를 적용하기로 합의했습니다.

3500억 달러 가운데 나머지 1천5백억 달러는 미국 조선업 재건, 마스가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국내외 은행을 통한 대출과 보증이 주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쌀과 쇠고기 등 농업 분야의 추가 개방을 방어한 걸 정부는 성과로 꼽았습니다.

(영상편집 : 유미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