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방금 보신 것처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러브콜에도, 북한은 아직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는데요. 우리 정부는 북한이 대화에 나서는 대가, 이른바 '청구서'를 더 키우고 있을 거란 분석을 내놨습니다.
이 내용은 손기준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국회의 외교부, 통일부에 대한 국정감사.
조현 외교부 장관과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깜짝만남 가능성에 대해 이렇게 내다봤습니다.
[조현/외교부 장관 : 수치화하는 건 저는 무의미하다고 생각합니다.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정동영/통일부 장관 : 가능성을 물으시는데 가능성보다 필요성이 더 간절하다, 그런 생각을 합니다.]
조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향해 일종의 '뉴클리어 파워', 즉, '핵을 가진 나라'라고 하거나 대북제재 완화 가능성을 시사한 게 북미 대화의 유인이 될 수 있다고 봤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은 과거보다 더 많은 대가를 원할 거라며 '대미 청구서'라고 비유했습니다.
[조현/외교부 장관 : 북한 입장에서 보면 러시아와 군사동맹을 맺었고, 또 러시아를 자극함으로써 중국과의 관계도 더 강화시켰고. 조금 더 청구서를 키우고 있지 않을까 그런 생각도 듭니다.]
조 장관은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뉴클리어 파워'라고 언급한 게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한 건 아니라고 해석했습니다.
[조현/외교부 장관 : 핵무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그런 사실을 인정한 정도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정 장관도 지난 2019년,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과 만난 뒤 빈손으로 돌아갔던 '하노이 노딜' 때와는 상황이 다르다고 분석했습니다.
[정동영/통일부 장관 : 트럼프 대통령이 뉴클리어 파워를 지금 다섯 번씩 얘기하면서 6년 전과 비교하면 엄청난 그런 상황이 달라졌다.]
정 장관은 북미가 본격적 담판을 한다면, 김 위원장이 평양에서의 회담을 선호할 가능성이 있다고도 덧붙였습니다.
(영상취재 : 전경배, 영상편집 : 유미라)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