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늘(28일) 오전부터 시작된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종합감사에서는 캄보디아 범죄와 관련해 여야 모두 외교부의 미진한 대응을 질타했습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2주 전 '두 국가론'이 정부안이라는 자신의 발언을 정정하기도 했습니다.
손기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외교부, 통일부 등을 대상으로 한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종합감사.
외교부는 긴급 현안 보고에서 캄보디아 내 범죄 피해에 대응해 다음 달부터 가동 예정인 코리아 전담반 설치와 주캄보디아대사관 인프라 확충 등에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전했습니다.
[조현/외교부 장관 : 이번 사안을 계기로 재외국민 보호 대응 체계를 다시 점검해 보게 되었으며 이번 일을 발판 삼아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한 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정진해 나가겠습니다.]
하지만 여야 모두, 외교부가 해당 지역에서 발생하는 범죄 유형 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윤후덕/민주당 의원 : 국제적으로 그 지역에서 어떤 범죄가 일어나는지 상황을 파악해야 되는데 허당, 허당이야 허당. 이 보고서는.]
[김석기/국회 외교통일위원장(국민의힘) : (장관이) 현장에도 안 가보고 어떻게 현장 사정을 압니까. 현지 공관에 맡겨서 경찰과 몇 사람 추가 파견한다, 이렇게 해결될 문제가 아닌 겁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남북 관계를 '평화적 두 국가론'으로 규정하는 게 정부안으로 확정될 것이라고 앞서 발언한 걸 정정했습니다.
[김준형/조국혁신당 의원 : 지난번에 '평화적 두 국가론' 많이 논란이 됐었는데요. 이게 정부안인지에 대해서 장관님의 입장을 다시 한번 얘기해 주시면.]
[정동영/통일부 장관 : 통일 지향의 '평화적 두 국가론'을 통일부가 확장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이런 말씀이었습니다. 정부안으로 확정될 것이다라는 말은 정정합니다.]
정 장관은 APEC 기간 동안 북미 정상회담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현재 경색된 남북 관계의 전환점을 만들기 위해 북미 정상회담 필요성이 간절하다며 통일부는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영상편집 : 유미라)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