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열흘 동안 서울과 경기 일부 지역의 부동산 시장이 급격히 얼어붙었습니다.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이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서 강화된 대출 규제와 실거주 요건이 적용돼 거래가 뚜렷이 감소했습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어제(25일)까지 열흘 동안 서울의 아파트 매매계약 건수는 564건으로, 직전 열흘(10월 6∼15일) 2천679건에서 78.9% 줄었습니다.
이번 수치는 신고된 계약 기준으로, 거래 신고 기한(30일) 내 추가 집계가 가능하지만 감소세는 뚜렷합니다.
무주택자와 처분조건부 1주택자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70%에서 40%로 낮아지고, 15억∼25억 원 주택은 대출 한도가 4억 원, 25억 원 초과 주택은 2억 원으로 제한된 점이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물은 대책 시행 첫날인 지난 16일 7만 4천44건에서 어제(25일) 6만 6천647건으로 10% 줄었습니다.
갭투자 매물 회수와 대출 규제로 '상급지 갈아타기'를 포기한 매도자들이 매물을 거둬들인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거래 감소에 따른 가격 조정 가능성에도 관심이 쏠립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10월 20일부터 24일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08%로, 직전 주(0.42%)보다 크게 둔화했습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매도인이 호가를 낮추지 않고 오히려 올릴 가능성도 있어 가격 하락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정부는 거래 위축 속에서도 공급 신호 강화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9·7 공급대책 후속 조치를 서둘러 시장에 확실한 '공급 시그널'을 주겠다는 방침입니다.
내년부터 입주 물량이 줄어드는 '공급 절벽'이 예상돼 수요 억제책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올해 27만 7천617 가구에서 내년 21만 483 가구로 감소할 전망입니다.
서울 역시 같은 기간 4만 2천684 가구에서 2만 8천984 가구로 줄어듭니다.
여당과 정부는 연내 서울의 자치구별 공급 계획을 구체적으로 발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재초환) 완화나 유예 연장도 논의 대상에 오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