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국민연금 'MBK 투자' 질타…받을 돈은 "약 9천억 원"

국민연금 'MBK 투자' 질타…받을 돈은 "약 9천억 원"
▲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이 24일 국민연금공단에서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이 투자 운용사 선정과 관련해 기준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오늘(24일) 전주 국민연금공단에서 국정 감사를 진행했습니다.

김 이사장은 "국민연금의 사모펀드 투자 방식을 개선할 의향이 있느냐"는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의 질의에 기준 보완 필요성을 언급하며, "기금 운용사를 선정할 때 그간 (운용사의) 수익이 자산을 팔아서 낸 것이냐, 기업을 키워서 낸 것이냐를 판단 기준으로 정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스튜어드십 코드(수탁자 책임 원칙)가 사모펀드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지적에는 "보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국정감사에서는 국민연금의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 투자와 관련한 질타가 이어졌습니다.

MBK파트너스는 2015년 홈플러스를 인수했고, 당시 국민연금은 6천121억 원을 투자했습니다.

그러나 홈플러스는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지 못한 채 올해 3월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고, 이 과정에서 MBK는 이익은 사유화하고 손실은 사회에 떠넘기는 전형적인 '먹튀' 행태를 보였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

김 이사장은 MBK로부터 받아야 할 돈이 얼마냐는 민주당 백혜련 의원 질문에 "약 9천억 원 정도"라며 상환과 관련해서는 "불확실한 상태다. 국민연금이 투자했고, 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에 책임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또, "홈플러스와 관련해 그때 그런 투자 결정으로 이런 결과가 난 데 대해서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며 "(운용사) 선정 단계에서부터 운용에 이르기까지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이사장은 인구 구조와 경제 상황에 따라 보험료율, 연금액 등을 조정하는 자동조정장치 도입과 관련해서는 중립적인 입장을 보였습니다.

장치 도입 필요성을 묻는 국민의힘 백종헌 의원의 질의에 대해 김 이사장은,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자동조정장치 (도입)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소득 보장이나 노인 빈곤율 등의 측면에서 신중하게 논의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