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태원 참사 3주기를 앞두고 정부 합동 감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정부는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실 용산 이전이, 참사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공직자 62명의 징계를 요구했습니다.
김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2022년 10월 29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 일대.
코로나19 방역 완화에 따라 핼러윈 인파의 밀집이 예상됐지만, 혼잡 상황을 통제할 경찰관이 거의 없었던 걸로 드러났습니다.
[남인석/상인 (2022년 10월 31일) : (경찰이 아예 없었어요?)없었어. (통제가 아예 안 됐던 건가요?) 네.]
구청 공무원들도 사정은 비슷했습니다.
그날 용산구청 상황실에는 근무자 5명이 있었는데, 그중 2명은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시간에 관내 전쟁기념관 인근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을 비난하는 전단지를 제거하는 작업에 투입돼 있었습니다.
국무조정실은 오늘(23일), 지난 석 달간의 정부 합동 감사 결과, 참사 당일 이태원 일대에 경비 인력이 전혀 배치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실 용산 이전이 이런 결과를 초래했다고 규정했습니다.
[김영수/국무1차장 : 인근 지역 집회 시위가 증가하였고, 이를 관리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가 되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같은 해, 용산 이전 5월부터 참사 발생 10월까지 용산경찰서 관내 집회와 시위는 921건으로 전년보다 26배가량 늘어난 상태였습니다.
국무조정실은 참사 대응에 책임이 있거나 비위가 확인된 공직자 62명의 징계 등을 경찰청과 서울시청, 용산구청에 요구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감사는 지난 7월, 이재명 대통령을 만난 유가족들이 공무원 징계 시효인 3년을 넘겨 면책받는 공무원이 없도록 해달라고 요청하면서 이뤄졌습니다.
유가족들은 만시지탄이라고 했습니다.
[이정민/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전 운영위원장 : 너무 늦었다는 점이 제일 아쉬운 부분입니다. (저희가 요구한) 그 시점에 나왔으면 아마 지금 많은 것이 달라졌을 것입니다.]
감사원도 참사를 인재로 규정하고,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인파가 몰릴 걸 예측하고도 경찰과 용산구 등이 사전 대비와 안전 관리에 부실했단 감사 결과를 내놨습니다.
(영상취재 : 정성화, 영상편집 : 이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