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럼프식 '먼로 독트린'…신아메리카 패권주의 부활

트럼프식 '먼로 독트린'…신아메리카 패권주의 부활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돈로 독트린'(Donroe Doctrine)을 내세우며 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미국 패권주의를 강화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현지시간 22일 보도했습니다.

'돈로 독트린'은 1823년 미국 5대 대통령 제임스 먼로가 천명했던 외교정책 '먼로 독트린'에 트럼프 대통령의 이름을 합친 합성어로 지난 1월 미국 뉴욕포스트가 처음 사용했습니다.

군사력과 경제력으로 아메리카 대륙을 안방처럼 관리하려 했던 먼로 독트린과 트럼프의 2기 대외 정책이 유사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대선 유세 기간, 우크라이나 전쟁 지원을 반대하는 등 '세계의 경찰' 노릇에서 손을 떼겠다는 뜻을 거듭 밝혔던 트럼프 대통령은 막상 재선에 성공하자 태도를 바꿨습니다.

트럼프는 취임 직후인 지난 1월 파나마 운하를 되찾고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만들겠다고 여러 차례 공개적으로 발언했습니다.

또한 군사력과 자금을 앞세워 연일 남미 국가를 흔들고 있습니다.

자신에게 협력적이지 않은 베네수엘라와 콜롬비아 등에 대해서는 군사력, 경제력 등 모든 역량을 투사해 굴종을 강요하고 있습니다.

반면 친미 정권에는 경제 지원과 외교적 보상을 제공하며 지역 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남미의 트럼프'로 불리는 아르헨티나의 밀레이 대통령은 미국과 최대 200억 달러(약 28조 4천억 원) 규모의 환율 안정화(통화 스와프) 협정을 체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버지니아주 콴티코 해병대 기지에 모인 전 세계 미군 부대 지휘관들을 향해 "우리는 서반구의 위협을 격퇴하는 데 다시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의 앞마당이라고 할 수 있는 아메리카 대륙을 대외정책의 1순위로 놓아야 한다는 것은 공화당의 전통적인 지지 세력이 1980년대까지 견지했던 정책방향입니다.

이후 미국이 중동을 대외정책의 우선순위로 놓으면서 이러한 구상은 퇴색하는 분위기였지만 트럼프가 재집권하면서 서반구 우선주의가 새로운 대외정책 기조가 됐습니다.

트럼프의 '돈로주의'는 보수층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유고브에 의뢰해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공화당원의 74%, 2024년 트럼프 유권자의 82%가 카리브해 폭격 작전을 지지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트럼프식 아메리카 패권주의가 21세기식 제국주의의 부활로 비쳐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칠레 외교관 출신 호르헤 에이네는 "2025년은 1823년이 아니다. 이런 접근은 '당근 없는 채찍'이며, 이러한 강경책이 남미 국가들을 오히려 중국의 영향력 아래로 더 밀어 넣을 수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실제로 중국은 이미 남미 대부분 국가에서 최대 교역국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콜롬비아, 브라질 등 일부 국가는 트럼프의 관세 및 군사 개입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볼리비아의 루이스 아르세 전 대통령은 지난달 유엔 총회에서 "미국식 신식민주의의 부활"이라고 비난했습니다.

보수 성향의 싱크탱크 후버연구소의 역사학자인 조셉 레드포드는 "트럼프의 정책은 미국이 강대국이 되기 전부터 지녀왔던 역사적인 정책으로 되돌아가는 것"이라며 "미국은 남미에서 무력을 행사하고 군사적 주둔을 할 의지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