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민경 성평등가족부 장관
원민경 성평등부 장관은 오늘(23일) "국내외 인신매매 범죄를 예방하고 피해자 지원 위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려 한다"고 밝혔습니다.
원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인신매매 피해자가 상담소 등 지원책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안내해 달라고 경찰에 공문을 발송한 바 있다"며 이렇게 밝혔습니다.
캄보디아 사태와 관련해서는 "사실 이런 사건이 최근의 일이 아니라 수년 동안 있었던 일들"이라며 "국내 인신매매에 집중하면서 외국에서 일어나는 인신매매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던 것 같아서 그 부분에 대해 다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자 로드맵을 세웠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조용수 성평등부 안전인권정책관은 "성평등부 사례판정위원회의 판정에 따라 최근 3년간 인신매매 피해 확인서가 34건, 올해는 19건이 발급됐다"며 "인신매매 실태 예비 조사를 하고 있고, 내년에 본조사를 할 계획"이라고 부연했습니다.
앞서 원 장관은 전신인 여성가족부 장관의 18개월 공백을 깨고 이달 1일 출범한 초대 성평등부 장관이 됐습니다.
원 장관은 "이제 공백의 시간을 넘어 '복원'의 시간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성 평등 정책의 신뢰를 되살려 국민의 기대에 응답하는 부처로 재탄생할 것"이라고 소회를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성평등부의 업무 추진 방향을 4가지로 요약했습니다.
그는 우선 "성 평등 사회 실현을 통해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겠다"며 "성 평등 정책은 갈등의 원인이 아닌 해결의 실마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를 위해 여성 경력 단절, 보육·돌봄 부담 등의 문제에 종합적으로 접근해 노동시장을 비롯한 사회 전반의 성 평등 구조를 바로 세우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원 장관은 또 "아동 양육비 지원 수준을 단계적으로 높이고 양육비 선지급제를 원활히 운용하겠다"며 "온 국민을 포용하는 가족·돌봄 사회를 구현하겠다"고도 말했습니다.
성평등부 소관 국정과제인 임신중지 약물 도입에 대해선 "임신중지 약물이 계속 유통되고 있는데도 법적 미비로 인해 부처에서 적극적 답을 내놓지 못하는 점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며 "법 개정 전에라도 적극적 조치가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성평등가족부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