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경제부총리는 지난 2018년 대출을 끼고 최대 4주택을 보유한 다주택자였습니다.
이후 문재인 정부 시절 고위 공직자 다주택 처분 권고에 따라 3채를 매각했는데, 현재까지 보유한 45억 원 상당의 서울 강남구 개포동 아파트에서도 재건축되기 전에 단 한 번도 실거주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금융 규제 정책을 진두지휘한 이억원 금융위원장 역시, 2013년 개포동 아파트를 전세를 끼고 3억 5천만 원 대출을 일으켜 구매했는데, 현재 재건축 후 이 위원장이 실거주하고 있는 해당 아파트도 40억 원 안팎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구 부총리와 이 위원장 모두 갭투자로 구입한 해당 주택을 매각할 경우 예상되는 시세 차익은 30억여 원에 이릅니다.
서울 서초구 우면동에 같은 아파트 단지 주택 두 채를 보유한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다주택 논란이 불거지자 두 채 중 한 채를 정리하겠다고 밝혔는데, 구체적으로는 자녀에게 양도하겠다고 밝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최근 부동산 정책에 깊게 관여한 것으로 알려진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역시, 지난 2000년 부부 공동명의로 서울 서초구 극동아파트 재건축조합원 입주권을 4억 원에 구입한 뒤, 실거주하지 않았습니다.
이후 완공 이후에도 실거주하지 않고 월세를 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렇듯 초고강도 부동산 대책을 주도한 정부 고위직 인사들이, 서울 강남 등에 수십억 원대 아파트를 보유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국민적 비판 여론이 커지고 있습니다.
앞서 아내 명의의 아파트 갭투자로 1년 만에 6억 원의 시세 차익을 거둔 것으로 밝혀진 이상경 국토부 1차관에 대한 분노 여론이 가라앉지 않으면서, 민주당 지도부는 차관의 발언이 부적절했다며 사과하기도 했습니다.
교수 출신의 이 차관은 이재명 대통령의 '부동산 책사'이자, '토지공개념'에 기초한 공공주택 공급주의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취재: 정혜경 / 영상편집: 김나온 / 디자인: 육도현 / 제작: 디지털뉴스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