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어제(20일) 저희가 단독으로 전해 드린 전남 신안 염전 강제 노동 피해자 이야기 이어가겠습니다. 지난 2014년과 2021년 두 번의 염전노예 사태가 불거지자 해당 지자체는 대책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형식적일 뿐 허점 투성이었습니다.
하정연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기자>
장 씨는 자신이 언제 염전에 들어왔는지조차 기억하지 못합니다.
[장 모 씨/염전 노동 피해자 : 새벽, 새벽 4시에 나가요. 밀고 간 거 통. 다 소금통.]
중증 지적장애인으로 의사 표현조차 쉽진 않은 그에게 염전은 감옥과 다름없었습니다.
[장 모 씨/염전 노동 피해자 : (가족들) 보고 싶었지. 사장이 휴대전화기를 안 줘. 자기가, 자기가 휴대전화 자기가 갖고 있는 거야.]
지난 2014년 '염전 노예' 사건 당시 피해자의 75%는 장애를 지닌 경우로 확인됐습니다.
신안군은 2021년 강제노동 사건이 또 터지자, 전담 공무원이 '1:1'로 염전 노동자를 관리하겠다고 했지만, 형식적일 뿐이었습니다.
[신안군청 관계자 : 그분들이 세세하게 뭐 이런 전문가는 아니어서 세세하게 본 건 아니고, 뭐 별 이상은 없는지 그냥 원론적으 로.]
현장에 나가도 심리적으로 염전주에게 예속된 노동자들에게 급여 지급과 폭행 여부 등을 물어보는 수준에 그쳤다는 겁니다.
[신안군청 관계자 : (염전주가 통장을) 오픈을 안 해주면 저희도 알 수가 없는 거죠.]
장 씨에게도 2022년 전담 공무원이 배치됐지만 피해 사실은 파악되지 못했습니다.
지난 4월 미국 정부가 신안 천일염에 대해 수입 금지 조치를 내리자, 신안군은 2021년 이후 대책을 강화해, 단 한 건의 불미스러운 일도 없었다고 반박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장 씨를 포함해 5건의 피해 의심 사례를 수사 의뢰한 상태였습니다.
[신안군청 관계자 : 저희가 사려 깊지 못한 내용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전라남도도 지난해 관내 염전 노동자 153명을 전수 조사한 결과, 임금 체불이나 폭행, 착취는 단 한 건도 확인되지 않았다는 결과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김남희/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민주당) : 염전주에게 종속돼서 본인의 진정한 의사를 표현하기 어려운 이런 피해자들의 사정을 고려하면 좀 더 적극적으로 진행했었어야 하지 않나….]
2014년 '염전 노예' 사건 당시 공식적으로 확인됐던 피해자 63명에 대한 추적 관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신안군청 관계자 : 글쎄요. 저희가 그거를 (2014년 피해자 리스트) 공식적으로 요청을 해야 아마 주지 그냥은 안 주는 거고요.]
[피해자 여동생 : 처음에는 조용히 넘어가려고 했는데, (염전노예) 없다고 없다고 분명히 (했는데) 또 오빠가 나왔잖아요. 그걸 보면서 또 다른 사람이 있을 수 있겠다.]
(영상취재 : 김태훈·오영춘·강시우, 영상편집 : 김준희, 디자인 : 조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