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과 캄보디아 정부는 이번 사태에 대한 합동 대응 TF를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캄보디아 정부는 대대적인 단속을 통해 한국인을 발견하면 즉시 구조하겠다고 공언했는데요. 정치권에서는 피의자들의 국내 송환을 놓고 또 공방을 벌였습니다.
이 소식은 김수영 기자입니다.
<기자>
우리 정부가 캄보디아 내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납치·감금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서 캄보디아 정부와 공동 TF를 꾸립니다.
[김진아/외교부 2차관 : 양국이 참여하는 합동 대응 TF를 구성해서 제도화하여 앞으로 협력을 증진 시키기로 (양국 정부가) 합의했습니다.]
수사 과정에서의 증거 공유와 범죄 연루자의 조기 송환 등을 위해서 정보 교환에도 힘을 쏟을 방침입니다.
구체적인 TF 운영 방식 등에 대해서는 오는 22일쯤부터 논의가 본격화합니다.
캄보디아 정부는 현지 경찰서들에 범죄 단지를 대대적으로 수색하고, 피해 한국인을 발견하는 경우, 즉각 구조에 나서라는 지시를 내려보냈습니다.
또, 한국인이 범죄에 연루돼 추방되면, 재입국을 불허하는 '블랙리스트' 명단을 만들겠다는 뜻도 우리 정부에 전했습니다.
캄보디아 당국에 구금됐던 한국인 64명을 국내로 송환한 데 대한 정치권의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렸습니다.
민주당은 "국제범죄에 대한 정부의 신속 대응을 환영한다"고 치켜세웠고,
[백승아/민주당 원내대변인 : 지금 필요한 것은 (정부에 대한) 청개구리식 비난이 아니라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현실적인 외교와 치안 공조입니다.]
국민의힘은 "피해자를 두 번 죽이는 범죄자 송환 쇼"라고 깎아내렸습니다.
[박성훈/국민의힘 수석대변인 : 성과를 포장하고 박수 칠 때가 아닙니다. 이들에게 사기당하고 고통받은 피해자들이 들으면 피가 거꾸로 솟을 일입니다.]
오는 22일, 캄보디아 프놈펜에서는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에 대한 국회의 국정감사가 열리는데, 사태 책임론을 둘러싼 여야 신경전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영상취재 : 박현철, 영상편집 : 전민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