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서울 광진구 구의초등학교에서 경찰들이 폭파 협박 FAX 접수 및 폭발물 해체 등 상황을 가정한 대테러 훈련을 하고 있다.
최근 두 달 반 사이 학교나 놀이공원 등 대형 시설에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협박 글이 크게 늘었습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채현일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게시된 폭발물 협박 글은 99건이었습니다.
특히 8월부터 10월 15일까지 작성된 폭발물 협박 글은 72건으로 전체의 72.7%가 집중됐습니다.
경찰은 이 가운데 60건에 대해 '위험 상황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판단해 수사 부서에 인계했습니다.
협박 글 게시자를 검거한 사례는 8건에 불과했습니다.
전국에서 다중 인원 시설을 대상으로 한 폭발물 협박이 증가하는 추세지만, 경찰이 제대로 된 대응을 마련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채현일 의원은 "경찰은 특히 8월 이후 폭발물 협박이 급증했음에도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며 "허위 신고를 분별할 수 있는 시스템 등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