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석 연휴를 일주일 앞둔 28일 서울 동대문구 경동시장 한 식당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문구가 붙어있다.
정부가 국민 90%에게 1인당 10만 원씩 지급하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지급률이 24일 만에 94%에 육박했습니다.
지급 속도는 지난 7월 진행된 1차 소비쿠폰 때보다 다소 더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달 22일부터 신청·지급이 시작된 2차 소비쿠폰은 24일 만인 지난 16일 0시 기준 전체 대상자의 93.98%가 신청을 마쳤습니다.
지급 금액은 4조 2천893억 원에 달합니다.
지난 13일 0시 기준 신용·체크카드로 지급된 2조 9천331억 원 중 69.6%가 사용됐습니다.
2차 소비쿠폰 지급은 오는 31일 오후 6시까지 진행되며, 받은 금액은 11월 30일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2차 소비쿠폰은 소득 하위 90% 국민에게 1인당 10만 원을 지원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신용·체크카드, 선불카드, 지역사랑상품권 가운데 원하는 방식을 선택해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2차 소비쿠폰 지급 속도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지급된 1차 소비쿠폰 때보다는 다소 느립니다.
1차 소비쿠폰은 지난 7월 21일부터 신청이 시작돼 지급 18일 만인 8월 8일 0시 기준 전체 대상자의 95.2%(4천818만 명)가 신청을 마쳤고, 8조 7천232억 원이 지급됐습니다.
2차 소비쿠폰 지급 기준을 둘러싸고 형평성 논란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2차 소비쿠폰 지원 대상은 가구 합산 소득 하위 90%로, 올해 6월 기준 건강보험료(장기요양보험료 제외) 가구별 합산액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지급됩니다.
직장가입자 기준으로는 ▲ 1인 가구 22만 원 ▲ 2인 가구 33만 원 ▲ 3인 가구 42만 원 ▲ 4인 가구 51만 원 ▲ 5인 가구 60만 원 이하가 기준입니다.
1인 가구는 연소득 약 7천500만 원 수준으로 보정하며, 맞벌이 등 다소득원 가구는 가구원 수를 1명 추가한 기준을 적용합니다.
2024년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이 12억 원을 넘거나, 2024년 귀속 금융소득 합계액이 2천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구원 전원이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그러나 건강보험료만으로 지급 여부를 판단하다 보니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예를 들어 해외에서 연봉 1억 원이 넘는 직장인 등 '고연봉자'가 2차 소비쿠폰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행안부 관계자는 "공적 자료를 통해 확인 가능한 항목을 기준으로 지급할 수밖에 없다"며 "소득을 기반으로 건보료를 산정하는 직장가입자의 경우 해외 소득은 반영되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고액의 주택을 보유한 사람이 2차 소비쿠폰을 받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컷오프 기준인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이 12억 원을 넘으려면 1주택자의 공시가격은 약 26억 7천만 원 이상이어야 합니다.
공시가격이 실거래가와 차이가 나다 보니, 실거래가 기준 40억 원대에 달하는 고가 주택 소유자도 건보료 기준만 충족한다면 지급 대상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