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소비쿠폰 효과' 취업자 31만 2천 명↑…청년·건설업은 부진 계속

'소비쿠폰 효과' 취업자 31만 2천 명↑…청년·건설업은 부진 계속
9월 취업자 수가 30만 명 이상 늘며 19개월 만에 가장 큰 폭 증가세를 기록했습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도소매·숙박음식점업 등 서비스업 고용 호조세를 견인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제조업·건설업 등 양질의 일자리 감소와 청년층 고용률 하락 등 부문별 부진은 계속됐습니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17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취업자 수는 2천915만 4천 명으로 1년 전보다 31만 2천 명 증가했습니다.

작년 2월 32만 9천 명 늘어난 뒤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올해 들어 5월(24만 5천 명)을 제외하고 매달 10만 명대를 맴돌았습니다.

서비스업 중심으로 고용 개선세가 뚜렷했다.

지난 7월 집행이 시작된 민생 회복 소비쿠폰이 일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정부 분석입니다.

도소매업 취업자는 2만 8천 명 늘며 2017년 11월(4만 6천 명) 이후 7년 1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습니다.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도 2만 6천 명 늘었습니다.

올해 3월(5만 6천 명) 이후 최대 폭 증가입니다.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취업자 수도 7만 5천 명 늘면서 증가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사업시설서비스업도 1만 9천 명 늘며 22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습니다.

반면 미국 관세정책과 건설업 불황 등에 따른 제조업·건설업 고용 부진은 계속됐습니다.

제조업은 6만 1천 명 줄며 15개월 연속 내리막을 기록했습니다.

건설업도 8만 4천 명 감소했습니다.

농림어업은 14만 6천 명 감소하면서 2015년 11월(-17만 2천 명) 이후 약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농림어가의 구조적인 감소세에 더해 최근 좋지 않았던 날씨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연령별로는 30대(13만 3천 명)와 60세 이상(38만 1천 명)에서 취업자가 증가했습니다.

30대는 2000년 7월 14만 1천 명 늘어난 뒤로 가장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다른 연령대에서 모두 취업자가 줄었습니다.

특히 청년층(15∼29세)은 14만 6천 명 줄며 감소 폭이 가장 컸습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3만 명 늘며 12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습니다.

반면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8만 5천 명 줄며 작년 7월(-11만 명)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일용 근로자는 2천 명 증가하면서 최근 2년 만에 처음으로 증가세로 전환했습니다.

상용·임시 근로자는 각각 34만 명, 4만 4천 명 늘었습니다.

공미숙 국가데이터처 사회통계국장은 "사업시설·도소매업·숙박음식점업 등의 취업자가 증가로 전환하면서 취업자 수가 30만 명 이상 늘었다"라며 "소비·문화쿠폰 발행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습니다.

소비쿠폰 효과가 한시적일 수 있다는 우려에는 "앞으로 지켜봐야할 부분"이라고 답했습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7%를 기록했습니다.

1982년 7월 월간 통계 작성이래 9월 기준으로 가장 높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70.4%였습니다.

청년층 고용률은 45.1%로 1년 전보다 0.7%포인트(p) 낮아졌고 17개월째 하락세입니다.

실업자는 30∼50대 중심으로 1만 2천 명 늘며 63만 5천 명을 기록했습니다.

실업률은 2.1%로 작년과 같았습니다.

청년층 실업률은 4.8%로 0.3%p 하락했습니다.

9월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00만 9천 명으로 11만 6천 명 감소했습니다.

작년 4월(-17만 4천 명)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입니다.

쉬었음 인구는 252만 1천 명으로 4만 2천 명 늘었습니다.

쉬었음 청년은 3만 4천 명 줄었지만 40만 9천 명을 기록하며 40만 명대를 웃돌았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