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곤궁한 삶에 해외로 내몰리는 20대…대출 연체율 가장 높아

곤궁한 삶에 해외로 내몰리는 20대…대출 연체율 가장 높아
캄보디아에서 납치·감금 등 고초를 겪은 젊은이들 중 일부는 일자리뿐 아니라 빚 탕감 약속에 속아 캄보디아행을 택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근 청년층의 심각한 경제난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실제로 20대의 은행 대출 연체율은 다른 연령층보다 높을 뿐 아니라, 결국 제도권 금융에서 밀려나 사채 등에 매달리는 '한계 청년'들도 계속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연령 특성상 직업이 아예 없거나 고용이 불안한 가운데 물가와 주거비 상승 압박이 커지면서 어른이 되자마자 빚의 수렁에 빠지는 셈입니다.

청년층의 과도한 빚은 금융 불안, 소비위축은 물론 저출산을 부추길 것으로 우려됩니다.

오늘(17일) 5개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연령별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20대 연령층의 가계대출 잔액은 34조 5천66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대출 규모 자체는 ▲ 30대 195조 4천933억 원 ▲ 40대 221조 1천409억 원 ▲ 50대 172조 2천824억 원 ▲ 60세 이상 132조 1천934억 원과 비교해 작지만, 대출의 부실 정도는 가장 심각합니다.

20대의 5대 은행 가계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 단순 평균은 0.41%로, 모든 연령층 가운데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50대(0.37%)·40대(0.35%)·60세 이상(0.32%)·30대(0.23%) 순이었습니다.

더구나 20대의 연체율은 1년 전인 작년 6월 말(0.39%)보다 0.02%포인트(p) 더 높아졌습니다.

빚에 허덕이는 청년들의 곤궁한 처지는 신용대출 연체율 추이에서도 확인됩니다.

A 은행의 올해 7월 기준 20대 이하 대출자의 신용대출 연체율은 0.80%로, 30대(0.37%)·40대(0.37%)·50대(0.37%)·60세 이상(0.62%)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물가 상승으로 생활비 부담이 커진 데다 전월세 보증금 등도 오르면서 젊은 층의 신용대출, 주택담보대출 규모도 커지고 이를 갚지 못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취업 실패나 연체 등으로 제도권 금융기관 대출이 막힌 젊은이들은 2금융권이나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서민금융원이 지난해 6월 공개한 '저신용자 대상 설문조사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저신용자(6∼10등급) 가운데 최근 3년 이내 대부업 또는 사금융 이용 경험이 있거나 현재 이용 중인 1천538명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20∼30대 응답자의 10%가 "불법 사금융 이용 경험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 긍정 답변의 비율은 2022년 7.5%에서 2023년 9.8%를 거쳐 계속 오르는 추세입니다.

더불어민주당 이강일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업권별 신용유의자 현황 자료'에서도 지난해 7월 말 기준 한국신용정보원에 신용유의자로 등록된 20대는 6만 5천887명(중복 인원 제외)으로 2021년 말(5만 2천580명)보다 25.3%나 급증했습니다.

같은 기간 전체 신용유의자가 54만 8천730명에서 59만 2천567명으로 8%가량 늘어난 것과 비교해 20대의 신용 위험이 매우 빠르게 커진다는 뜻입니다.

한은 관계자는 "2013∼2019년 취급된 가계대출 가운데 30대 이하 차주의 대출 비중은 29.6%였지만, 2020∼2021년 가계대출의 경우 같은 연령층의 비중이 38.3%로 커졌다"며 "해당 차주들의 소득 기반이 여타 연령에 비해 취약한 만큼, 한동안 30대 이하를 중심으로 2020년 이후 취급된 가계대출의 연체율이 예상보다 높게 상승할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소득과 취업 기회 확대가 청년층 빚 부담의 근본적 대책"이라며 "청년들에게 경제·금융 교육이나 재무 상담 기회를 늘리는 방안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