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부동산 규제지역을 확대하면서 시장의 과열 양상은 일단 진정되는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일률적인 규제에 대한 반발이 확산하고 있고, 전세난이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박재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서울 도봉구의 역세권 아파트 단지입니다.
실수요층 위주로 거래가 이뤄지던 곳인데, 정부가 규제지역 확대를 발표한 이후 중개업소에는 발길이 뚝 끊겼습니다.
[서울 도봉구 부동산 대표 : 전에 (아파트) 사려고 하던 사람들 전화하니까 혼란스럽대요. 어떻게 해야 될지 몰라서. (매물) 많지도 않고 좀 올라온다 하니까 거둬들이고. 거래가 없어요.]
아파트값이 크게 오른 지역이 아닌데도 획일적으로 규제지역으로 묶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커졌습니다.
[원미영/부동산 대표 (서울 도봉구) : 오늘부터는 아예 없을 것 같은데요 문의가. 성동구, 마포구, 강남 이쪽 잡자고 지금 우리 동네까지 확 죽여놓은 거 아닌가.]
집값 과열 양상을 보였던 이른바 '한강벨트' 지역은 집주인들이 내놨던 매물을 거둬들이고 관망세로 돌아선 분위기입니다.
[서울 마포구 부동산 대표 : 몇 차례의 부동산 대책이나 부동산의 그 사례들을 보면서 학습 효과들이 많이 있으셨던 것 같아요. 결국에는 가격이 그렇게 떨어지지 않으리라는….]
일단 초강력 대책으로 과열 양상은 누그러지는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 차단이 전세 매물 감소로 이어지고, 전셋값을 밀어 올릴 거라는 우려도 적지 않습니다.
[20대 예비 부부 : (매물이) 한두 개 정도밖엔 없는 것 같아요. 저희가 최종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게 없고, 그게 안 되면 이제 저희는 월세로 가야 되는 건데 월세가 지금 또 많이 너무 많이 오른 것 같아서….]
[김규정/한국투자증권 부동산 전문위원 : 피해를 입게 되는 실질적인 주거 수요자들을 지원 보조를 하면서 공급 확대나 이런 약속된 부분들을 빨리 실행을 해서 안정을 끌어내느냐.]
이상경 국토부 차관은 현금 부자만 집을 살 수 있게 됐다는 비판에 대해 그런 우려는 있을 수 있다면서도 보유세를 포함한 세제 개편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황인석·배문산, 영상편집 : 우기정, 디자인 : 홍지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