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달 26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특수공무집행방해,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등 혐의 사건 1차 공판에 출석해 있다.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의 '정점'인 윤석열 전 대통령이 오늘(15일) 조은석 특별검사팀에 출석해 8시간 넘게 조사를 받았지만, 모든 질문에 답변하지 않고 진술을 거부했습니다.
특검팀은 이날 오후 6시 51분쯤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피의자 조사를 완료했다"고 밝혔습니다.
윤 전 대통령이 지난 7월 재구속된 이후 수사기관에 출석한 것은 처음입니다.
앞서 특검팀은 '평양 무인기 투입' 등 외환 의혹과 관련해 윤 전 대통령에게 지난달 24일과 30일 출석을 통보했으나 윤 전 대통령은 이에 응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특검팀은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강제 인치(강제로 데려다 놓음)를 준비했고, 이날 오전 집행에 나설 예정이었습니다.
그러나 체포영장 발부 및 집행 계획을 미리 알게 된 윤 전 대통령이 임의 출석 의사를 표명하면서 실제 영장 집행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교도관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자진 출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조사는 이날 오전 10시 14분께 시작됐습니다.
특검팀에서는 박향철 부장검사와 문호섭 검사가 조사에 투입됐습니다.
윤 대통령 측에서는 김홍일·배보윤 변호사가 입회했습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의 명분을 만들 목적으로 북한을 도발하기 위해 지난해 10월께 드론작전사령부에 평양 무인기 투입 작전 등을 지시한 것으로 의심합니다.
특검팀은 이날 조사에서 무인기 투입 작전 계획과 준비, 실행 단계까지 윤 전 대통령의 지시 사항과 의사결정 과정 전반을 질문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다만 윤 전 대통령은 특검팀 질문에 일절 답하지 않고 진술거부권을 행사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