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관례에 따른 선관위원장 이석을 두고 여야가 설전을 벌였습니다. 이번에는 조희대 대법원장 때와는 입장이 바뀌었는데, 민주당이 이석을 요청하고, 국민의힘이 반대한 겁니다. 또, 김현지 대통령실 부속실장의 국감 증인 채택을 놓고도 여야 공방이 이어졌습니다.
김형래 기자입니다.
<기자>
국회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국정감사.
노태악 선관위원장이 인사말을 마친 뒤 관례대로 국감장을 떠나려고 하자 국민의힘 의원들이 이의를 제기합니다.
그제(13일) 대법원 국감 때 민주당 측이 관례를 깨고 조희대 대법원장의 이석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았던 만큼, 노 위원장도 똑같이 국감장에 남아서 질문을 받아야 한단 겁니다.
[서범수/국민의힘 의원 : 법사위 다르고 행안위 다릅니까? 국회란 어떤 운영의 규칙은 어느 상임위든지 똑같아야 한다고 저는 봅니다.]
반면 민주당 의원들은 노 위원장을 사전에 증인 등으로 채택한 게 아니니 이석을 막아선 안 된다고 반박했습니다.
[윤건영/민주당 의원 : 일반 증인으로든 기관 증인으로든 채택을 하고 오늘 이 자리에서 그 주장을 펼쳐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그동안 아무런 이야기가 없었습니다.]
그제 조희대 대법원장의 국감장 이석 문제에선 양당 입장이 정반대였습니다.
민주당 소속인 신정훈 행정안전위원장의 이석 허가로 노 위원장은 국감장을 떠났습니다.
여야는 이재명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불리는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의 국감 증인 채택 문제를 놓고도 국감장 밖 공방을 이어갔습니다.
[김병주/민주당 최고위원(YTN 라디오 '김영수의 더 인터뷰') : 김현지 실장에 대해서 왜 그렇게 국민의힘에선 집착합니까? 지금까지 부속실장이 운영위 (국정감사에) 나온 적이 없습니다]
[최수진/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 : 떳떳하다면 국감에 출석해 직접 소명하십시오. (여러 의혹이) 사실이 아니라면 당사자가 직접 해명하면 될 일입니다.]
다음 달 6일 대통령비서실 국감까지 여야의 줄다리기는 이어질 전망입니다.
(영상취재 : 전경배·공진구, 영상편집 : 황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