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감감사 사흘째, 오늘(15일) 선거관리위원회에 대한 행안위 감사에서는 이틀 전 법사위에서 벌어진 것과 똑같은 상황이 연출됐습니다. 여야의 공수 역할만 바뀌었습니다.
이경원 기자입니다.
<기자>
오늘 국정감사장에 나온 노태악 선거관리위원장.
선관위원장은 보통 인사말을 마치고 국정감사장을 빠져나오는 게 관례인데, 국민의힘은 노 위원장에 대한 질의응답이 필요하다며 이렇게 주장했습니다.
[서범수/국민의힘 의원 : 법사위 다르고, 행안위 다릅니까. 그렇지는 않지 않습니까. 국회라는 어떤 운영의 규칙 어느 상임위든지 똑같아야 한다고 저는 봅니다.]
그제 법제사법위원회 대법원 국정감사에서, 민주당이 관례와 다르게 대법원장을 향해 질의를 진행했던 것처럼 노 위원장도 질문을 받아야 한단 겁니다.
이틀 만에 여야 공수가 뒤바뀐 셈입니다.
민주당은 증인 요청 절차는 물론 사전협의가 없었다며 반박했고,
[윤건영/민주당 의원 : 일반 증인이든 기관 증인이든 채택을 하고 오늘 이 자리에서 그 주장을 펼쳐야 하는데 불구하고 그동안 아무 이야기가 없었습니다.]
민주당 소속 신정훈 행정안전위원장이 관례대로 이석을 허가하면서 노 위원장은 자리를 떴습니다.
고용노동부 국정감사는 시작부터 파행을 빚었습니다.
국민의힘이 민주노총 일부 간부가 간첩죄로 유죄를 받은 사건을 거론하며 관련자 증인 채택을 요구하자, 민주당은 일부 전직 간부의 일탈인데 특정 단체를 왜곡해선 안 된다고 맞섰고, 결국 정회가 선포됐습니다.
[김위상/국민의힘 의원 : 그러면 그 사람이 민주노총이지 어디 소속이에요?]
[박해철/민주당 의원 : 그 얘긴 잘못했다, 그렇게 얘기하시면 되죠! (뭘 잘못했는데, 내가?)]
이 대통령 최측근으로 꼽히는 김현지 제1부속실장 이름은 오늘도 계속 거론됐습니다.
국민의힘은 인사혁신처를 향해 김 실장의 국회 보좌관 시절 재산을 공개하라고 압박했지만, 민주당은 보좌관 재산은 원래 비공개라고 맞섰습니다.
대법원 감사에서도 국민의힘은 김 실장의 증인 채택이 필요하다고, 민주당은 김 실장으로 시선 돌리기를 하고 있다며 신경전을 벌였습니다.
(영상편집 : 황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