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지역 4곳 중 3곳은 지난해 자살률이 전국 평균보다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신과 의사가 한 명도 없는 인구감소지역도 24곳에 달해 정신의료 인프라도 취약했습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국가데이터처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전국 89개 시군구의 지난해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36.3명이었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자살률인 10만 명당 29.1명보다 25%가량 높습니다.
89개 시군구 가운데 전국 평균보다 자살률이 높았던 지역은 67곳으로, 4곳당 3곳꼴입니다.
지난해 자살률 상위 10개 시군구도 모두 인구감소지역이었습니다.
충남 청양군이 10만 명당 60.3명으로 가장 많았고, 강원 홍천군 59.9명, 강원 정선군 56.3명 순이었습니다.
인구감소지역은 정신의료 인프라도 다른 지역보다 열악했습니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인구 10만 명당 정신과 의사 수는 8.3명인데, 인구감소지역 89곳 중 63곳은 정신과 의사 수가 여기에 못 미쳤습니다.
정신과 의사가 한 명도 없는 전국 28개 시군구 중에서도 24곳이 인구감소지역으로 파악됐습니다.
김선민 의원은 "보건복지부는 자살률이 높고 보건의료 환경이 열악한 인구감소지역에 대해 심층적인 조사와 연구를 실시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TV 캡처,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