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국내 전기차 누적 등록 대수 80만 대…친환경차 판매 비중 12.1%

국내 전기차 누적 등록 대수 80만 대…친환경차 판매 비중 12.1%
전기차 누적 등록 대수가 80만 대를 돌파하는 등 국내 자동차 시장의 친환경 전환 속도가 빨라지고 있습니다.

9일 국토교통부 자동차 등록 통계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 국내에 등록된 전기차는 총 82만 2천81대로 집계됐습니다.

작년 같은 시점(63만 5천847대) 대비 30%가량 증가한 수치입니다.

전기차 누적 등록 대수는 2020년 3월 10만 대를 넘었고, 3년 6개월 후인 2023년 9월 50만 대를 돌파했습니다.

이러한 추세가 이어질 경우 내년 100만 대 달성이 유력시됩니다.

또 다른 친환경차인 하이브리드차 누적 등록 대수는 237만 5천9대를 기록했습니다.

전기차와 마찬가지로 지난해 같은 시점(183만 6천631대)보다 30% 가까이 늘었습니다.

전체 자동차 등록 대수 2천643만 4천692대 중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12.1%까지 올랐습니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비중은 연말 기준 2015년 0.9%, 2020년 3.3%에 불과했지만 이후 꾸준히 상승해 현재는 10대 중 1대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내연기관차 하락세는 점점 심화하는 모양새입니다.

올해 8월 말 기준 휘발유차의 누적 등록 대수는 1천240만 1천663대로 작년 같은 달 대비 0.02%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경유차는 876만 8천995대, 액화석유가스(LPG)차는 184만 5천186대로 각각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5%와 0.29% 감소했습니다.

특히 경유차는 등록 대수가 폐차 대수보다 적어지면서 지난 2월 누적 등록 대수 900만 대가 깨지기도 했습니다.

친환경차 보급 속도는 점차 빨라질 전망입니다.

정부는 지난달 24일 열린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수송부문 대국민 토론회'에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035년부터 휘발유, 경유 등을 연료로 쓰는 내연차 판매 제한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정부는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각각 48%, 53%, 61%, 65% 감축하는 4가지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이중 61%와 65% 감축안은 대부분의 차량을 무공해차로 채워야 해 내연차 판매를 제한하는 방안이 포함됐습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업계에 대한 선제적인 지원책을 통해 국내 자동차 시장이 수입차, 특히 중국산 전기차에 시장 잠식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