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헌법재판소 사이버 테러 시도 9년간 110만 건…보안 '경고등'

헌법재판소 사이버 테러 시도 9년간 110만 건…보안 '경고등'
▲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가 최근 9년간 약 110만 건이 넘는 '사이버 테러' 시도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SK, 롯데카드 등 기업을 겨냥한 해킹 공격으로 대규모 정보 유출 사건이 잇따르는 가운데 국가기관마저 위협받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의원이 헌법재판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헌재 대상 '사이버 테러' 시도는 총 116만 7천 건으로 집계됐습니다.

2017년 8만 5천 건이던 사이버 테러 시도는 매년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 18만 7천 건까지 늘었습니다.

올해는 8월까지 이미 8만 건 이상의 시도가 적발됐습니다.

다만 실제 테러가 발생하기 전 탐지·차단에 성공하면서 이로 인한 피해사례는 아직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이버 테러는 악성코드 유포, 피싱 메일 전송 등 다양한 경로로 이뤄집니다.

이는 해킹, 개인 정보 유출, 서비스 마비 등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실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북한 해커 조직이 법원 전산망을 장기간 해킹해 내부 자료를 대규모로 탈취한 사건도 있었습니다.

당시 사건 이후에도 해커가 어떤 경로로 침입했고, 어떤 자료가 유출됐는지조차 파악되지 않아 개인정보 악용 등 2차 피해 우려가 커지기도 했습니다.

헌재는 이러한 위협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자동 차단 시스템을 구축하고 전산망 보안을 전담하는 전문 부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심판이 있었던 2025년에는 재판관 살인 예고, 헌법재판소 방화 예고 등 총 9건의 온라인 테러·협박 사례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