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전 센터에 쏠림…문 못 연 공주 백업센터는 '무용지물'

<앵커>

국가 전산망 마비 같은 이런 사태를 막기 위한 대책이 없었던 건 아닙니다. 실시간 시스템 백업이 가능한 센터를 충남 공주에 마련해 놓고도 문을 열지 못해 무용지물이 돼버렸고, 이번에 불이 난 대전센터에만 중요 시스템이 집중됐다는 문제점도 드러났습니다.

전형우 기자입니다.

<기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센터는 2005년 대전과 2007년 광주에 만들어졌습니다.

두 센터에서 시스템이 포화 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면서 지난해엔 대구센터도 문을 열었습니다.

충남 공주에는 비상사태에도 정부 시스템이 마비되지 않게 실시간 백업이 가능한 센터 건립이 추진돼 왔습니다.

본원인 대전센터는 정부24와 국민신문고 등 중요한 대국민 서비스 대부분인 647개 시스템이 집중돼 있습니다.

광주센터는 경찰 112 신고나 법무부 등 일부 정부 부처 시스템을 관리하고, 대구센터는 소비쿠폰 지급과 AI 기반 시스템 등을 맡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요 시스템이 집중된 대전센터에 화재가 발생하면서 대국민 서비스에 심각한 차질이 빚어졌습니다.

특히, 각 센터에 문제가 발생해도 실시간으로 똑같은 시스템을 가동해 피해를 막을 수 있는 공주센터가 기능하지 못한 점이 문제입니다.

쌍둥이처럼 동일한 시스템을 물리적으로 분리된 곳에 구축해 한쪽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쪽이 즉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건데 예산 삭감, 계약 유찰 등으로 재작년 완공하고도 개청이 지연됐기 때문입니다.

[임종인/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명예교수 : 한 군데 다 몰아넣으면 만약에 거기가 공격을 받으면 어떻게 되냐 이런 우려가 있어서 상호 백업 제도를 했는데. 데이터 백업도 제대로 안 됐던 것 아니에요.]

지난해 대전센터와 공주센터 이원화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예산으로 75억여 원을 요청했지만, 실제로는 61%가 삭감된 29억여 원만 편성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염흥열/순천향대 정보보호학과 명예교수 : 정보 시스템의 회복력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시스템 센터 내의 이중화 그리고 센터 간의 이원화가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지역 센터별로 담당 시스템을 최대한 분산시키고 전산망 이중화를 신속하게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영상편집 : 정성훈, 디자인 : 최재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