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살 사망자 99%가 '경고 신호' 보냈으나…20%만 주변서 알아채

27일 오후 서울 마포대교에 자살 예방을 위한 '한 번만 더' 동상이 설치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 2월 27일 오후 서울 마포대교에 자살 예방을 위한 '한 번만 더' 동상이 설치돼 있다.

자살 사망자의 99% 이상은 사망 전 우울증상이나 자살에 대한 말 등 '경고 신호'를 보냈으나 주변에서 이를 인지한 경우는 20%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은 오늘(1일) 최근 3개년(2022∼2024)과 10개년(2015∼2024) 자살 사망자의 특성을 분석한 '2024년 심리부검 면담 결과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심리부검은 자살 사망자의 가족이나 지인의 진술, 고인의 기록을 바탕으로 심리·행동 변화와 생애 스트레스를 확인하고 자살의 원인을 추정하는 조사입니다.

이번 분석에선 유족 1천420명 면담을 바탕으로 한 자살 사망자 총 1천250명의 심리부검 결과가 활용됐습니다.

분석에 따르면 최근 3개년 심리부검 대상 자살 사망자의 99.3%가 사망 전 심리나 행동의 변화를 통해 일종의 '경고 신호'를 보냈습니다.

'우울한 기분을 보인다'(72.4%) 거나 '자살에 대한 말을 하거나 쓴다'(70.4%), '수면 상태의 변화'(69.7%), '식사 상태의 변화'(56.5%), '타인과의 관계를 피한다'(53.1%) 등이 대표적인 경고 신호였습니다.

그러나 유족이 이를 알아챈 비율은 20.1%에 그쳤고, 79.9%는 신호를 인지하지 못한 채 지나갔습니다.

10개년 통계와 비교하면 경고 신호를 보낸 사망자의 비율은 96.5%에서 최근 더 늘어났고, 주변에서 인지한 비율은 23.7%에서 더 줄었습니다.

2024년 심리부검 면담 결과 보고서, 자살사망자 경고신호 유무 및 내용 (사진=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제공, 연합뉴스)

최근 3년 자살 사망자 중 61.3%는 사망 전 치료·상담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들 중 86.5%는 정신건강의학과 외래치료를 받았습니다.

10개년 통계와 비교해 치료·상담 경험률이 5.3% 포인트(p) 늘었습니다.

그러나 치료·상담을 도중에 중단한 비율이 41.0%(10개년 43.8%)로 여전히 높았습니다.

부검 대상 자살 사망자들의 고용 형태는 피고용인이 36.1%로 가장 많았고, 26.8%는 사망 당시 소득이 없었습니다.

61.7%는 사망 당시 부채가 있었습니다.

이는 부채를 보유한 가계 비율 60.7%(2024년 3월 가계금융복지조사)와 유사한 수준입니다.

부채 가운데 주택 임차·구입 관련 부채가 26.5%, 재테크·투자 관련 부채가 23.5%였습니다.

재테크·투자 관련 부채 비율은 10개년 13.9%와 비교해 최근에 눈에 띄게 늘었습니다.

자살 사망자들은 평균 4.3개의 스트레스 사건을 다중으로 경험했는데, 특히 79.9%가 정신건강 관련 스트레스를 경험했습니다.

성장 과정에 대한 스트레스를 겪은 비율은 68.2%로, 최근 10개년(50.6%)보다 크게 증가했습니다.

한편 심리부검 면담에 참여한 유족의 대다수(99.0%)는 사별 후 심리·정서적 어려움과 관계·신체 건강 변화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절반 이상(54.8%)이 자살을 생각하고, 19.6%가 심한 우울을 겪는 등 정신건강 문제가 심각했습니다.

또 유족의 73.4%는 고인의 사망 사실을 알리지 못했는데, 자살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주변의 충격에 대한 우려가 그 이유였습니다.

황태연 재단 이사장은 "이번 결과는 부채 증가와 정신건강 악화 등 자살위험 요인, 유족에 대한 심리적·사회적 지원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시켜 줬다"며 "사회적 변화를 반영한 심층 분석과 연구를 확대하고 자살 예방 사업에 반영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제공, 연합뉴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상담전화 ☎ 1393, 정신건강 상담전화 ☎ 1577-0199, 희망의 전화 ☎ 129, 생명의 전화 ☎ 1588-9191, 청소년 전화 ☎ 1388, 청소년 모바일 상담 '다 들어줄 개' 어플, 카카오톡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