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우리가 사랑한 괴물들…'프랑켄슈타인'과 '케데헌'의 공통점 [스프]

[취향저격] (글: 장은진 대중문화평론가)

기예르모 델 토로 (사진=연합뉴스)
우리 시대, 연민과 애정으로 사랑할 수밖에 없는 괴물을 만든 두 감독이 부산을 찾았다. 부산국제영화제를 방문한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과 매기 강 감독. 두 사람 다 몬스터가 등장하는 영화로 엄청난 애정과 지지를 받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식 레드카펫에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이 등장하자 영화 마니아들 사이에서는 크리처물 거장의 등장에 감탄과 환호가 터져 나왔고, 수줍게 입장해 반갑게 손을 흔들고 하트를 만드는 미국계 한국인 매기 강 감독에게는 열렬한 박수 세례가 쏟아졌다. 지금 가장 핫한 두 감독의 등장은 부산국제영화제를 달구었고 두 사람은 GV와 포럼, 오픈 토크 등 바쁜 스케줄을 소화했다.

결론적으로 올해 서른 살을 맞은 BIFF(부산국제영화제)는 화제성과 내실, 둘 다 채우는 데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그 열기가 식지 않는 '케데헌'의 창작자 매기 강 감독부터 영화 마니아들을 비롯해 다크 판타지의 귀재, 국내 첫 내한인 기예르모 감독을 초대함으로써 화제성도 잡고 영화제 콘텐츠의 질도 높였기 때문이다.


기예르모 감독이 사랑한 결핍과 불완전한 존재들 기예르모 델 토로 (사진=연합뉴스)
먼저 <프랑켄슈타인>으로 돌아온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부터 얘기해 볼까. 멕시코 출신의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은 올해 60세가 넘었지만 여전히 에너지 넘치게 괴수물과 판타지 장르에서 독특한 자신만의 크리처를 만들어낸 감독으로 높게 평가받고 있다. ET를 만든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에게 이제 우리에게 남은 희망은 기예르모 델 토로뿐이라는 찬사를 받기도 했고 <헬보이>, <판의 미로>,<The Shape of Water>까지 시대를 초월한 괴물을 소재로 현대인의 우화 같은 판타지를 만들어냈다. 다크 판타지의 거장이라고 하지만 잔혹하고 파괴적인 괴물 대신 괴물이 가진 심연의 본성을 이끌어내는 그의 능력은 이번 넷플릭스에서 공개될 <프랑켄슈타인>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전작인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피노키오>에서도 그랬지만 그가 이물(異物), 몬스터를 바라보는 시선은 지속적으로 진화한다.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 창조주와 피조물의 관계, 신과 인간, 예수와 하나님. 이 모든 거대한 세계를 관통하며 기예르모 델 토로가 던지고자 하는 메시지는 명확하다. 모든 괴물이 가지고 있는 결핍과 부재의 서사, 이 세상의 모든 존재가 결핍을 가진 히어로와 그에 맞서는 결핍의 몬스터 둘 뿐이라는 듯.

<프랑켄슈타인>은 관계와 소통에 대한 이야기다. 신이 되고 싶었지만 아버지는 되지 못했던 한 인간의 이야기. 창조주에게 '왜 나를 만드셨나요' 묻고 싶었던 피조물은 빅터만을 기억하고 빅터를 외치며 그렇게 소멸되었다. 그 괴물의 강렬하고도 선한 눈빛을 창작해 낸 기예르모 델 토로. 그는 여전히 괴물을 사랑하고 괴물에 천착한다. <프랑켄슈타인> 속 빅터의 창조물이 자신을 따뜻하게 바라보던 엘리자베스와 흐르는 물과 낙엽을 잡으며 교감하려는 장면은 2017년 <쉐이프 오브 워터> 속 아가미로 숨 쉬던 물고기 인간이 농아 여인과 수화로 소통하고 이들이 물속에서 사랑을 나누는 장면이 연상된다. 괴물이 가진 괴수성은 우리 안의 불안과 공포가 만들어내는 것임과 동시에 괴물을 구별 짓기 하는 타자 역시 시작부터가 불완전한 존재라는 기예르모 감독의 말이 떠오르는 순간이었다.

취소된 프레스 티켓을 겨우 구해 첫 회 상영을 보러 갔는데 IMAX 영화관의 440석 관객에게 기예르모 감독은 전부 친필 사인을 해주겠다고 선언했고 결국 그 약속을 지켰다. 열정적인 한국 관객들을 향해 '비바 부산!'을 외치며 멕시칸 특유의 흥으로 감사함을 표현하고 글로벌 포럼에서는 그가 가진 깊고 푸른 그레이 칼라의 눈동자만큼 크리에이터로서의 심연의 확장을 보여주었다.


매기 강 감독의 K-몬스터를 향한 연민, 대중적 공감의 핵심
매기 강

BIFF가 한창 진행 중인 일요일, 야외무대에 '헌트릭스' 루미 스타일의 땋은 머리를 하고 나타난 매기 강 감독은 시종일관 미소를 띠고 관객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소통하며 본인도 이렇게 사랑받게 될지 몰랐다며 마음껏 한국에 대한 사랑을 표현했다. 5살에 부모를 따라 이민을 갔던 꼬마 여자아이는 스토리보드 아티스트라는 직업을 가질 만큼 이야기를 좋아했고 <드래곤 길들이기>와 <쿵푸팬더> 등의 작업에 참여하며 자신의 꿈을 실현시켜 나갔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세계적 흥행과 성공이 특별한 이유는 K-컬처 내부의 작업이 아닌 외부에서 이를 관찰하고 바라본 객관적인 타자에 의한 결과물이라는데 있다. 매기 강 감독 스스로가 한국어를 잊지 않고 한국인임을 끊임없이 자각했고 그녀에게 한국의 문화는 늘 독특하고 새롭고 재미있는 것들이었기에 악령을 퇴치하는 걸그룹의 이야기, 귀마와 대립하는 선한 괴물 진우 캐릭터가 대중의 공감을 이끌어낸 것이다.

두 감독의 공통점은 바로 대중에게 공감을 얻는 몬스터를 만들어냈다는 데 있다.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이 '프랑켄슈타인'이라는 괴수물의 고전이자, 메리 셸리가 창조한 클래식의 가치를 보여주면서도 괴물이 가진 잔혹함이 아닌, 창조자에 대한 분노와 사랑받고 싶어 하는 연민의 존재로 재해석했다는 것, 매기 강이 만든 '사자보이즈' 안의 진우는 자신이 가진 전생의 업보로 인한 기억에 괴로워하면서 벗어나려 애쓰지만 결국 자신이 누군지 깨닫게 해 준 루미를 위해 희생하는 가치를 보여준 괴물이라는 점에서 깊은 공감을 얻은 것이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더 깊고 인사이트 넘치는 이야기는 스브스프리미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