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지역 경제 성장률 2분기 연속 0%대 정체…건설업 10%대 감소 지속

지역 경제 성장률 2분기 연속 0%대 정체…건설업 10%대 감소 지속
건설업 불황이 이어지면서 지역 경제 성장률이 2분기 연속 0%대에 머물렀습니다.

오늘(2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2분기 실질 지역내총생산(GRDP)'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체 지역경제 성장률은 0.4%를 기록했습니다.

전분기(0.1%)보다는 소폭 개선됐으나 두 분기 연속 1%를 밑돌며 부진이 이어졌습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1.6%), 대경권(0.1%)에서 소폭 증가세를 보였지만, 호남권(-2%), 동남권(-1.0%), 충청권(-0.4%)은 역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지역경제 성장률 부진은 건설 경기 불황의 영향이 가장 컸습니다.

2분기 건설업 GRDP는 전년 동기 대비 10.8% 감소했습니다.

2015년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를 기록한 1분기(-12.4%)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감소셉니다.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감소 폭은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10%대 역성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건설업 GRDP는 2024년 2분기부터 5개 분기 연속 하락세를 보였으며, 특히 올해 들어서는 두 자릿수 감소폭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권역별로는 대경권(-18.5%), 호남권(-15.6%)의 감소폭이 두드러졌고, 수도권(-9.5%)과 동남권(-8.1%), 충청권(-8.0%)도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시도별로는 대구(-20.3%), 전남(-18.1%), 경북(-17.5%), 제주(-17.2%), 광주(-15.3%), 세종(-15.2%) 등 순으로 감소 폭이 컸고, 부산(-3.1%), 서울(-3.7%), 인천(-5.9%) 등은 상대적으로 감소폭이 적었습니다.

반면 광업·제조업 GRDP는 2.0% 증가하며 전분기(0.4%)보다 증가폭이 확대됐습니다.

메모리 반도체 관련 수출 증가 영향이 크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입니다.

수도권(4.5%), 대경권(4.4%) 등은 반도체·전자부품 생산 증가의 영향으로 성장세를 보인 반면, 동남권(-1.7%)과 호남권(-1.5%)은 감소했습니다.

서비스업 GRDP 역시 전기 대비 1.2% 증가해, 직전 분기(0.6%)보다 두 배 수준의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2023년 2분기 이래 8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도·소매가 플러스(0.6%) 전환했습니다.

수도권(1.8%), 충청권(1.2%), 동남권(1.0%)은 금융·보험, 공공행정, 보건·복지 등을 중심으로 생산이 늘었습니다.

반면, 대경권(-0.3%)과 호남권(-0.2%)은 부동산, 사업서비스업 등의 위축으로 역성장을 기록하며 지역별 편차를 보였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