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올해 고1부터 도입된 '고교학점제'에 대해 학생과 교사의 부담만 키운다는 비판이 이어져 왔는데, 교육부가 오늘(25일) 고교학점제 개선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남정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학생이 원하는 과목을 골라 듣고, 학점을 채워 졸업하는 고교학점제는 올해 3월부터 도입됐습니다.
진로 진학 선택의 기회를 넓히겠다는 취지였지만, 일선 학교에서는 학생과 교사의 부담만 키운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돼 왔습니다.
현장의 문제점을 해소하겠다며 교육부가 오늘 고교학점제 개선 대책을 내놨습니다.
먼저, 성취율이 낮은 학생들에 대한 보충 지도를 학점당 5시수에서 3시수 이상으로 줄이고, 출석률 미도달 시에는 100% 온라인 프로그램으로도 추가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완화했습니다.
또 과목 담당 교사에게만 부여했던 출결 처리 권한을 담임교사에게도 동시에 부여하기로 했습니다.
교사의 부담을 키웠던 학교생활기록부의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도 1, 2학기 합산 최대 500자로, 절반 수준으로 줄이기로 했습니다.
개편안에는 다양한 과목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인력 확충 방안도 담겼습니다.
일선 학교에 강사 채용 예산을 지원하고, 대학 시간제 강사도 고교 수업을 맡을 수 있도록 고등학교와 대학교 간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등의 내용입니다.
다만, 이번에는 고교학점제의 핵심인 '학점 이수 기준 완화' 등의 내용은 담기지 않았습니다.
교육부는 남은 사안들은 교육 과정 전면 개정이 필요한 만큼 국가교육위원회와 논의를 거쳐 추후 발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 우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