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이 일본산 자동차 관세를 15%로 적용하겠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아직 미국과 합의하지 못해 더 높은 관세를 적용받는 한국 자동차는 경쟁에서 불리해졌는데요. 미국을 찾은 여한구 통상본부장은 우리도 빨리 타결하도록 노력하고 있지만 협상 과정인 만큼 일희일비하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
워싱턴 김용태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기자>
미국이 연방 관보를 통해 현지 시간 16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일본 자동차 관세를 15%로 적용한다고 밝혔습니다.
기존 27.5% 관세에서 15%로 낮아지면서 미국 시장에서 일본 차는 가격 경쟁력을 갖추게 됐습니다.
아직 미국과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한 한국은 당분간 자동차 관세 25%를 적용받기 때문에 일본 차와 경쟁에서 불리해졌습니다.
미국을 찾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자동차 관세와 관련 최대한 협상을 서두르겠지만 협상 과정인 만큼 일희일비하지는 않겠다고 말했습니다.
[여한구/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 최대한 빨리 될 수 있도록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수용할 수 있는 최종 결과를 위해서 최선을 우리는 다하고 있고.]
한미는 지난주 실무 협상에 이어 장관급 회담까지 열었지만 대미 투자금 3천500억 달러의 성격과 이익 배분 등 세부 내용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한 상태입니다.
[여한구/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 악마는 디테일(세부 내용)에 있는 것이고, 지금 '디테일 가지고 치열하게 협상을 하는 중이다' 이렇게 보시면 되고 저는 일단 USTR(미 무역대표부) 대표 만나고.]
여 본부장은 조지아주 구금 사태와 관련해선 미국 측도 약간 과했다고 보는 것 같다며 우리 기업의 이해를 반영하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우리 측이 미국에 제안한 것으로 알려진 한미 간 통화 교환, 스와프에 대해선 구체적 사안을 하나하나 공개하기 어렵다며 즉답을 피했습니다.
(영상취재 : 오정식, 영상편집 : 김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