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10일 '자진출국' 귀환?…외교장관 미국행

<앵커>

미국 조지아주에 구금된 우리 국민 300여 명의 귀국을 위해 정부가 전세기를 띄우기로 했지만, 아직 정확한 일정이 확정되지 않고 있습니다. 전세기가 이르면 10일에 뜬다는 말도 현지에선 나왔는데, 외교부는 아직 확정된 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현 외교장관은 조금 전, 미국으로 떠났습니다.

오늘(8일) 첫 소식, 김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국 조지아주에 가 있는 외교부 현장 대책반은 자진출국을 희망하는 한국인 구금자를 대상으로 한 귀국 전세기의 투입 시점을 '이르면 10일'로 내다봤습니다.

[조기중/주미 대사관 워싱턴 총영사 : 기술적으론 빨라야 수요일(10일) 정도 될 것 같아요. 그런데 이제 문제가 없다면 그렇고, 그건 이제 목표 날짜고요.]

오늘 국회에 출석한 조현 외교장관은 전세기 일정이 미확정 상태라고 했습니다.

[조현/외교부 장관 : 미국 출발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그건 단순히 테크니컬한(기술적인) 것하고, 행정적 절차가 남아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정부는 일정을 최대한 앞당기기 위해 외교적 노력을 다하겠단 방침입니다.

외교부 현장 대책반은 영사 면담을 원했던 한국인 구금자 250여 명과 면담을 마무리했고, 다음 단계로 한국인 구금자 332명 전원에 대해 전세기 탑승을 위한 자진출국 의사를 확인 중입니다.

자진출국 시 미국 재입국 등이 어려워질까 우려해 정식재판을 받겠단 구금자도 있는데, 자진출국이 가장 빠른 석방과 피해 최소화의 길이란 게 정부 판단입니다.

[조현/외교부 장관 : (불법인가 아닌가라는 건) 법원에서 엄격히 다투어 봐야 할 문제인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또 비용도 막대하게 들기 때문에.]

조 장관은 조금 전, 워싱턴으로 출발했는데,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사태 해결책을 논의합니다.

조 장관은 공장 건설이 지연되면, 우리 기업뿐 아니라 미국 측 손해도 상당할 거라고 지적하고, 전문직 취업 또는 주재원 비자를 받는 근본적 해결책도 협의할 전망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관련 보고를 받은 뒤, "대처에 미비한 부분이 있는지 챙겨보라"고 지시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습니다.

(영상취재 : 정성화, 영상편집 : 위원양)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