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국의 불참 표명에도…"일본, 사도광산 추도식 13일 강행"

한국의 불참 표명에도…"일본, 사도광산 추도식 13일 강행"
▲ 사도광산 갱도 찾은 한국인 희생자 유족들

한국 정부가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광산 추도식에 일본 측의 부적절한 추도사 등을 문제 삼아 불참하기로 한 가운데 일본 측은 '반쪽짜리' 행사에 대한 우려에도 당초 계획대로 오는 13일 추도식을 강행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니가타현과 사도시, 현지 민간단체 등이 참여하는 사도광산 추도식 실행위원회는 최근 계획대로 오는 13일 추도식을 현지에서 열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한국 정부가 추도식 개최 일정이 전해진 지난 4일 추도사 등을 이유로 올해 추도식에 불참할 것을 표명한 가운데 나온 결정입니다.

한국 정부 관계자는 당시 불참 결정과 관련해 "한국인 노동자들이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강제로 노역해야 했다는 것이 적절히 표현돼야 추모의 격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했다"면서 "노동의 강제성에 관한 구체적 표현에 접점을 찾지 못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유가족들에게도 이를 알렸으며 자체 추도식을 별도로 개최할 계획입니다.

자체 추도식의 시기나 규모 등은 유동적이지만 올해 가을 중 사도섬에서 열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와 관련해 일본 추도식 실행위원회 관계자는 "한국 측이 오지 않아 매우 유감"이라고 말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습니다.

니가타현에 따르면 이번 추도식의 참가자는 80명 정도로 조율되고 있습니다.

사도광산 추도식은 일본이 지난해 7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면서 한국이 조선인 강제노동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반영할 것을 요구하자 한국 측의 협조를 얻기 위해 약속한 사항입니다.

그러나 일본은 지난해 첫 추도식을 준비하면서부터 행사 이름과 추도사 등에서 한국 측과 큰 견해차를 보였습니다.

결국 11월 24일 사도시에서 열린 추도식은 한국 유족과 정부 관계자들이 빠지면서 '반쪽짜리' 행사가 됐으며 한국 측은 이튿날 사도광산 조선인 기숙사 터에서 별도의 추도 행사를 열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