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극우 활동가 로라 루머
인도와 미국 간 관세전쟁이 이어지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인도 IT 기업에 일거리를 주는 행위를 막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인도 일간 (TOI)에 따르면 미국의 극우 활동가인 로라 루머가 소셜미디어 엑스에 이 같은 내용의 글을 올렸습니다.
루머는 엑스에서 "영어를 쓰지 않는 누군가(인도인)와 영어로 통화할 때 (전화기에서) 2번을 누르는 시대를 트럼프 대통령이 끝내려 하기 때문에 매우 신난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에서 콜센터 이용을 위해 전화를 걸면 고객자동응대서비스를 통해 스페인어를 원하면 1면, 영어를 원하면 2번을 누르라고 권유받는 상황을 빗댄 것입니다.
미국 기업들은 비용절감을 위해 콜센터 영어 서비스 인력을 인도에서 구하며, 영어를 할 줄 아는 인도인이 전화로 미국 고객을 지원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콜센터를 미국이 다시 운영하게 하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구호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를 변주하는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루머의 이 같은 주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에 러시아산 원유수입 지속에 대한 제재성 추가관세를 포함해 총 50%의 상호관세를 지난달 27일 적용하기 시작한 가운데 나온 것입니다.
관세전쟁을 계기로 일각에선 인도 기술 전문가들이 미국에 입국해 다른 외국 전문가들과 일하는 데 필요한 미국의 H-1B 비자 프로그램 폐지 여부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도 다시 고개 들고 있다고 TOI는 짚었습니다.
이 비자 프로그램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 직후 논쟁적인 이슈로 부상했다가 관세전쟁을 계기로 다시 주목받게 됐습니다.
마가 활동가들은 나아가 인도인들의 미국 일자리 '도둑질'을 중단시켜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서는 보수 논객 잭 포소비에크가 멀리 떨어져 일하는 외국 노동자에게 세금을 매길 것을 요구해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으로부터 칭찬을 받기도 했습니다.
포소비에크는 "다른 나라들은 멀리서 미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혜에 대해서도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인 콜센터 직원 등 외국인 노동자에 세금을 부과하거나 미국 기업들이 인도 기업들에 일거리를 주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실제로 계획을 수립 중인지는 불명확하다고 TOI는 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가 미국과의 관세문제를 두고 최근 중국, 러시아와 밀착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과 관련해 지난 5일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미국과 인도 양국이 특별한 사이라며 걱정할 것이 없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에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다음날 양국이 '매우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엑스에서 밝혔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