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델로 맥주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이민 정책이 미국 경제에 역풍을 불러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불법 이민자 단속 강화로 특히 히스패닉계의 소비가 위축되고 이들이 주 소비층인 기업들도 타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서류를 갖추지 못한(undocumented) 이민자들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단속은 미국 시민이거나 합법적 신분의 다수 히스패닉계 사이에서도 냉각 효과를 가져왔다"고 현지시간 6일 보도했습니다.
미국 인구의 약 20%를 차지하는 히스패닉계는 코로나19 팬데믹 회복기에 소비의 주역이었으나 최근 몇 년간 물가 상승과 노동 시장 냉각으로 이들의 소비가 위축되기 시작했다고 블룸버그는 보도했습니다.
리서치 업체 뉴머레이터에 따르면 히스패닉 가구의 소비는 6월까지 1년간 거의 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백인과 흑인 가구의 지출은 지난해보다 더디긴 하지만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의 대대적인 불법 이민자 단속도 히스패닉계의 소비 지출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비영리 단체인 '라티노 도너 콜라보레이티브'의 아나 발데스 대표는 블룸버그에 "우리는 파티와 모임을 덜 하고, 배달 서비스는 더 많이 이용하면서 소비를 줄이고 있다"면서 합법적으로 체류 중이더라도 소비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맥주인 '모델로' 제조업체인 컨스털레이션 브랜즈는 최근 이번 회계연도 실적 전망을 대폭 낮췄습니다.
히스패닉 소비자의 수요 감소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영향을 그 이유로 들었습니다.
빌 뉴랜즈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몇 달간 히스패닉 소비자들 사이에서 고급 맥주 소비 감소가 시장 전반의 감소세보다 더 두드러졌으며 이는 맥주 사업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습니다.
히스패닉 소비자는 이 회사 맥주 매출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핵심 고객층입니다.
히스패닉계 소비 위축과 이민 정책 등에 대한 우려는 다른 업계로도 번지고 있습니다.
향수 등을 제조하는 뷰티 기업 코티는 미국의 이민 정책 변화가 사업 둔화에 영향을 끼쳤다고 지난달 밝혔고, 윈덤 호텔 & 리조트는 이민 및 무역 불확실성을 고객 변동성과 연결 지었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전했습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한식 바비큐 체인 'GEN 레스토랑 그룹'은 캘리포니아·텍사스·네바다주 등 히스패닉 고객과 직원이 많은 지역에서 이민 단속의 영향을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300여 명이 이민 당국에 체포된 것과 관련해 "미국 행정부 단속이 아시아계 등 외자 기업 공장도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줬다"며 "일본을 포함해 미국에 거점을 둔 외국 기업에서 경계감이 강해질 듯하다"고 관측했습니다.
또 "트럼프 행정부 단속 강화는 미국 내 경제 활동에 이미 영향을 주고 있다"며 "불법 이민자 대규모 단속으로 히스패닉 노동자와 소비자가 위축돼 그들의 경제 활동이 축소되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