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승절 80주년 열병식 참석을 위해 중국을 방문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4일 오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양자회담을 개최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5일 보도했다.
북한과 중국이 6년여 만에 정상회담을 열고 관계 복원을 알렸습니다.
앞으로 경제와 고위급 교류를 활발히 추진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회담에서는 북한이 비핵화를 논외로 한 입장을 고수한 가운데 중국도 비핵화 언급을 하지 않았습니다.
전통적으로 북핵을 용인하지 않았던 중국의 태도가 흐려진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날 베이징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졌다고 보도했습니다.
시 주석은 "앞으로도 북한이 자기 실정에 맞는 발전의 길을 걸으며 조선식 사회주의 위업을 개척해 나가는 것을 지지한다"고 말했습니다.
2018∼2019년 북중 정상회담 때와 달리 이번에는 양측 발표에서 한반도 비핵화 관련 내용이 빠졌습니다.
당시에는 북미 정상회담이 진행되던 시기로 북한도 겉으로는 비핵화를 언급하던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북한은 "국위이고 국체인 핵을 영원히 내려놓지 않으려는 입장은 절대 불변"이라고 강조하며 비핵화를 완전히 거부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시 주석이 김 위원장을 푸틴 대통령과 함께 톈안먼 망루에 세우고 북한의 행보를 지지한다고 밝힌 것은 사실상 묵인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이 핵무기 고도화를 통해 전략적 지위를 확보하려는 목표를 중국이 인정한 것"이라며 "특급 의전을 제공하고 비핵화를 언급하지 않은 것은 북한의 전략적 지위를 보장하려는 의도"라고 분석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북중이 밀접하게 왕래하고 경제 발전 경험을 교류하길 바란다"며 호혜적 경제무역 협력을 희망했습니다.
하지만 유엔 안보리 제재로 실질적인 협력은 제약이 많아, 대북 제재나 비핵화 원칙을 훼손하면서 추진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입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태도 변화가 동북아 전략 환경과 영향력 회복 필요성이 맞물린 결과라고 보고 있습니다.
양국 발표에는 '전략적 의사소통 강화'라는 표현이 공통으로 등장했습니다.
이는 정치·안보 사안에서 이해관계를 함께하며 긴밀히 조율하겠다는 뜻으로, 최근 북러 밀착으로 소원해진 북중 관계에서는 잘 쓰이지 않던 표현입니다.
시 주석은 "중국은 한반도 문제에서 객관적이고 공정한 입장을 유지해왔고, 앞으로도 북한과 조정을 강화해 평화와 안정을 지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