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재명 대통령이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양대 노조위원장을 대통령실로 초청해서 오찬을 함께 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노사의 소통을 강조하고, 양대노총에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 적극 참여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강민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과 오찬을 함께 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노동 존중 사회와 기업하기 좋은 나라가 충분히 양립할 수 있는 개념이라면서 노사 간 소통을 강조하고 또 대통령으로서 중립적 입장을 지키겠다는 뜻도 밝혔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 혹시 기업 편 너무 많이 드는 거 아니야? 뭐 이런 생각. '옛날에는 노동자 편이었는데 요즘은 아닌 거 같아' 이런 생각할지도 모르겠어요. 그런데 제가 편이 어딨겠습니까?]
'노란봉투법' 개정과 관련해선 기업이 불리해지는 것이 아니고, 법원이 인정한 것을 입법화한 것뿐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최근 국회가 주도하는 노사정 사회적 대화 기구에 민주노총이 참여하기로 한 점을 거론하며, 대통령 직속 기구,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 양대 노총이 참여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 만나서 싸우든지 말든지 결론을 내든지 말든지 해야지 아예 왜 안 보는 걸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지난 1998년 외환위기 극복을 위해 설립된 경사노위는 민주노총 없이 한국노총만 참여한 상태로 운영됐습니다.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엔 한국노총도 참여 중단을 선언했고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위원장 선정도 하지 못하는 등 사실상 운영이 멈춰 있습니다.
오찬에서 민주노총은 기후위기, 불평등 노동 문제 해결을 위한 전면적 노정 교섭을 제안했고, 한국노총은 65세 정년 연장과 주 4.5일제 시범 사업 도입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영상취재 : 이병주·하륭, 영상편집 : 황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