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단독] "안전하다"던 곳만 골라 산사태…산림당국 "다 관리하긴 역부족" (D리포트)

지난 7월, 춘천 서면 안보리.

쏟아진 폭우에 산이 무너져 토사가 민가를 덮쳤습니다.

뒤엉킨 나무와 흙더미로 마을은 물론 건물 안까지 흙이 밀려들어 모든 게 엉망이 됐습니다.

[산사태 피해 주민 : 지금 아직 이 공사가 시작도 안 했고, 비·태풍 같은 경우에 오면 더 심해지죠. 이제 더 크게 날 수도 있고, 불안하죠.]

산사태 피해가 발생한 지 한 달 넘게 지났지만,여전히 마을 곳곳엔 수해의 흔적이 가득합니다.

하지만, 이 마을은 산림청과 강원자치도가 지정한 산사태 취약지역이 아니었습니다.

최근 3년간 강원도 산사태 발생 지역은 모두 48곳. 그런데 취약지역과 일치한 곳이 단 한 건도 없습니다.

산림청은 산사태 위험 등급과 주민 안전·토지 특성 등을 종합해 취약지를 지정합니다.

하지만, 취약지역과 발생 지역의 일치율이 0%라는 얘기입니다.

산림 당국이 산사태 위험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 의문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지자체 관계자 : (취약지) 지목만 정리된 거기만 (관리)합니다. 저희도 잠재성이 있는 것들을 저희가 갖고 있는 거는 없어요.]

전국 상황도 비슷합니다.

지난 10년간 산사태로 발생한 인명피해 29명 가운데 27명이 취약지구 밖이었습니다.

이에 대해 산림 당국은 "강원도 전체 면적의 80% 이상이 산림이라서 모든 곳을 관리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산림 당국이 선진 사례 벤치마킹 등 산사태 예방을 위한 보다 전문적이고 적극적인 행정이 아쉬운 대목입니다.

(취재: G1 김이곤, 영상취재: G1 박종현, CG: G1 이민석, 제작: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