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회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내란 특검팀은 이틀째 국민의힘 원내대표실 압수수색에 나섰습니다. 특검 사무실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보겠습니다.
권민규 기자, 먼저 압수수색 진행 상황부터 전해주시죠.
<기자>
국회 본관에 있는 국민의힘 원내대표실 압수수색 집행이 어제(2일)에 이어 오늘도 무산됐습니다.
추경호 전 원내대표의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 관련한 압수수색인데요.
국민의힘 의원들은 오늘도 야당 말살이라고 반발하며, 긴급 의원 총회를 소집하고 영장 집행을 막아섰습니다.
특검팀은 "원칙적인 절차에 따라 집행하겠다"면서도 "국민의힘과 계속 협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계엄 논의가 지난해 3월부터 시작된 걸로 보여, 추 의원이 계엄을 인지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추 의원이 원내대표에 선출된 지난해 5월부터 최근까지 영장에 적시된 기간만큼 압수수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앵커>
윤석열 전 대통령은 변호인을 통해서 입장을 냈는데, 어떤 내용이 담겼습니까?
<기자>
윤 전 대통령을 접견한 변호인은 "비상계엄에 동원됐던 군인들에 대한 탄압을 멈추라"는 윤 전 대통령의 발언을 전했습니다.
"모든 책임은 군 통수권자였던 자신에게 묻고, 군인들에 대한 공소는 취소해달라"면서 "계엄에 참여했던 군인과 그 가족들을 위해 매일 기도하고 있다"고 말했다고도 했습니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은 특검 조사는 물론 자신의 내란 책임을 묻는 형사재판에도 나오고 있지 않습니다.
<앵커>
그리고 법무부가 윤 전 대통령 수감 특혜 의혹과 관련해서 감찰에 나섰다고요?
<기자>
법무부가 지난 2월 서울구치소 보안 구역에 휴대전화를 반입했던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을 고발하고 내부 감찰에 착수하기로 했습니다.
법무부는 서울구치소 내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특혜 의혹 실태를 조사했는데, 다른 수용자들에 비해 지나치게 긴 접견 시간 등 일부 문제점이 발견됐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강 전 실장의 지난 2월 접견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에게 휴대전화를 건넨 혐의를 포착했다고 강조했습니다.
(현장진행 : 신진수, 영상취재 : 박현철, 영상편집 : 최혜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