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늘(3일) 오전 열린 중국 전승 80주년 기념행사에 탈냉전 이후 66년 만에 처음으로 북중러 정상이 한자리에 서는 상징적 장면이 연출됐습니다. 3국의 정상은 톈안먼 망루에 나란히 앉아서 밀착을 과시했는데요. 행사 후 김정은 위원장은 러시아 푸틴 대통령과 함께 이동해서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첫소식, 남승모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헬기부대의 공중 분열로 시작한 열병식은 보병대, 기수대, 장비 부대, 공군기 순으로 이어졌습니다.
항일 전쟁 당시 부대와 함께 최신 대륙간탄도미사일과 스텔스 전투기, 육해공 무인 무기 등 미국을 겨냥한 첨단 무기 체계들도 대거 선보였습니다.
연설에 나선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은 트럼프발 관세 전쟁 이후 격화하고 있는 미국과의 대결에서 물러서지 않겠다는 뜻을 내비쳤습니다.
[시진핑/중국 국가 주석 : 중화민족은 어떤 굴욕도 용납하지 않고, 자주적으로 강인하게 발전해 온 위대한 민족입니다.]
귀빈석에는 시진핑 주석을 중심으로 왼쪽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오른쪽에는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앉아 열병식을 지켜봤습니다.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은 열병식과 오찬 리셉션 후 같은 차량을 타고 이동해 정상회담을 열었습니다.
푸틴 대통령은 북러 간 조약에 따라 북한군이 우크라이나전에서 쿠르스크 지역 탈환을 도운 데 거듭 감사의 뜻을 표했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러시아 대통령 : 북한의 군대와 장병 가족들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치른 희생을 러시아가 결코 잊지 않을 것임을 밝히고자 합니다.]
김 위원장은 러시아에 대한 지원은 형제의 의무라며 양국 간 협력을 강조했습니다.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 : 당신과 러시아 인민을 위해서 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더 해야 하는 것이 있다면 형제적인 그런 의무로 모든 걸 다해서 도울 용의가 있습니다.]
북중 정상회담도 조만간 열릴 걸로 보이는데, 6년여 만에 개최되는 이번 회담이 우크라이나 전쟁 후 북러 밀착으로 다소 껄끄러진 양국 관계 회복에 중요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영상편집 : 유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