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늘(3일) 국회에서 열린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에서는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 사건 당시 민주당 인사들의 '피해 호소인' 표현을 놓고서 공방이 벌어졌습니다.
이경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오늘 열린 원민경 여가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강선우 민주당 의원이 보좌진 갑질 논란으로 후보직에서 사퇴한 지 42일 만이었습니다.
청문회가 시작되자 윤미향 전 민주당 의원의 증인 채택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국민의힘은 여가부가 위안부 문제 주무부처인 만큼, 위안부 피해자 후원금 횡령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최근 사면된 윤 전 의원 증인 채택이 필요하다, 그런데 민주당이 이를 거부해 무산됐다고 비판했고,
[조은희/국민의힘 의원 : 검증 기능을 상실한 맹탕 청문회, 이런 청문회가 과연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
민주당은 윤 전 의원이 이번 청문회 후보자 검증과 관련이 없는 증인이라며 맞받았습니다.
[채현일/민주당 의원 : 대통령 사면, 보조금 횡령, 그런 것이 궁금하면 직접 후보자에게 질문하면 되고요.]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사건 당시 민주당 인사들이 사용해 논란이 된 '피해 호소인' 표현도 쟁점이었습니다.
원 후보자는 당시 민주당 윤리심판위원이었습니다.
국민의힘은 원 후보자가 이 표현에 침묵한 건 적절치 않았다고 꼬집었고,
[한지아/국민의힘 의원 : 그런데 왜 어떤 문제도 제기하지 않으셨습니까? 이 단어가 괜찮았기 때문입니까?]
민주당은 윤리심판위원에겐 비밀 엄수 의무가 있다며, 당시 입장을 밝히긴 어려웠다고 반박했습니다.
[임미애/민주당 의원 : 관계된 사건에 대한 개인적인 입장을 표명하는 것이 과연 쉬웠을까요?]
원 후보자는 피해 호소인이 부적절한 표현이라고 말했습니다.
[원민경/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 피해자를 다른 용어로 지칭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피해자에 대해서는 피해자로 부르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원 후보자는 또 여성가족부를 성평등가족부로 확대하는 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 이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