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내년도 질병관리청 예산으로 올해보다 약 5% 늘어난 1조 3천억 원가량을 편성했습니다.
인플루엔자(독감)와 사람 유두종바이러스(HPV) 무료 예방접종 대상을 확대하는 등 감염병 관리를 강화하고 백신·치료제 등 개발에도 전년보다 많은 예산을 투입한다는 계획입니다.
질병청은 이런 내용의 2026년도 예산안이 지난달 29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습니다.
예산안은 향후 국회 심의·의결을 거쳐 확정될 예정입니다.
정부는 내년도 질병청 전체 예산으로 올해보다 651억 원(5.1%) 늘어난 1조 3천312억 원을 편성했습니다.
어린이 독감 예방 접종을 생후 6개월∼만 13세에서 만 14세 이하로 확대하고, 만 12∼17세 여성 청소년 등에게 지원하던 HPV 접종을 만 12세 남성 청소년으로 확대하는 예산 등이 포함됐습니다.
결핵 환자 관리 지원, 한센인 이동검진 서비스 지원 예산도 증액됐습니다.
감염병 실태조사, B·C형 바이러스 간염 인증지표 개발 등에 필요한 예산은 새롭게 편성됐습니다.
아울러 코로나19 같은 신종 감염병을 조기에 인지할 수 있도록 표본 감시기관을 늘리고 하수 감시 체계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권역 감염병 전문병원 구축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국가 감염병 병상 체계 연구도 실시합니다.
초고령 사회에 대응해 희귀 질환 진단 및 만성질환 예방관리 사업 예산도 증액했습니다.
기후변화가 국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 예산도 편성됐습니다.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개발 연구 지원도 올해에 이어 계속됩니다.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희귀·난치질환 연구, 소외 질환 연구 등을 위한 예산도 대폭 증액되거나 신설됐습니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감염병 예방을 위한 국가필수예방접종 확대, 차기 팬데믹 대비를 위한 감염병 감시·대응 체계 고도화, 상시 감염병과 만성질환의 지속 관리, 백신·치료제 개발 등 보건의료 연구개발(R&D) 지원 등 질병청 핵심 기능 강화에 중점을 두고 예산을 편성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질병관리청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