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장 가맹점 명의의 신용카드 결제 단말기 사진
스미싱(문자메시지를 이용한 피싱 범죄)으로 해외 신용카드 정보를 탈취해 국내에서 결제하는 방식으로 수십억 원을 가로챈 사기단이 덜미를 잡혔습니다.
주로 실물카드를 활용해 온 기존 범죄들과 달리 이번에는 NFC(근거리무선통신) 결제로 카드 대금을 가로채는 신종수법이 사용됐습니다.
서울경찰청 마약범죄수사대 국제범죄수사1계는 모집책 A(62)씨 등 4명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 등 혐의로 검거해 송치했다고 오늘(2일) 밝혔습니다.
범행에 쓰인 위장 가맹점을 개설하는 데 도움을 준 B(51) 씨 등 28명은 여신전문금융업법상 명의대여 혐의로 송치됐습니다.
경찰은 주범 격인 A 씨 등 2명은 구속했으며 한국 국적 60대 총책은 현재 중국에 있는 것으로 보고 국제 공조를 요청해 추적 중입니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총책이 스미싱 등으로 탈취한 해외 신용카드 정보를 제공받아 스마트폰에 저장한 뒤 2023년 12월부터 작년 7월까지 허위매출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돈을 가로챈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국내에 위장 가맹점을 만들고 개통한 카드 단말기에 NFC 결제하는 방식으로, 총 7만 7천341건의 허위결제로 약 30억 원을 챙긴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습니다.
가맹점을 여는 데 명의를 대여해 준 이들은 카드 매출의 16∼18%를 수수료로 받기로 약속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모집책은 범죄수익의 20∼40%를 챙겼으며 나머지는 추적이 어려운 가상자산 형태로 총책에게 전달됐다는 게 경찰의 설명입니다.
해외 신용카드를 국내 가맹점에서 사용하면 결제 대금은 지정된 국내 카드사가 가맹점에 선지급하고, 이를 해외 카드사가 추후 확인해 보내는 방식으로 처리됩니다.
경찰은 작년 7월 국내 카드사들에서 '이상 거래가 있다'는 취지의 수사 의뢰를 받고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이어 그해 8월 명의대여자 검거를 시작으로 사기 조직의 정체를 확인해 일당을 검거했습니다.
경찰은 범죄수익에 대해 기소 전 추징보전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번 범행에 연계된 별도의 카드 정보 탈취 조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추가 수사를 진행 중입니다.
이번 사건의 경우 국내 신용카드 피해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국내 카드 명의자도 같은 방식으로 피해를 볼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경찰은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스미싱 방지를 위해 출처가 불분명한 앱을 설치하지 말고 휴대전화 보안 업데이트와 NFC 기능 사용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습니다.
(사진=서울경찰청 마약범죄수사대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