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직장인 밥값 지원 정책을 추진하기로 하면서 이를 두고 찬반 여론이 일고 있습니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2026년 예산안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내년부터 직장인 든든한 한끼 시범사업을 실시합니다.
79억 예산을 들여 인구 감소 지역 소재 중소기업 근로자 5만 4천 명에게 월 4만 원 식비를 지원하는 내용입니다.
사업은 크게 '천원의 아침밥'과 '든든한 점심밥' 2종류로, '천원의 아침밥' 사업은 백반 등 쌀을 활용한 일반식, 김밥 등 간편식을 한 끼당 천원에 제공하는 겁니다.
단가 5천 원인 식사라면 정부가 2천 원, 지자체와 기업이 각각 1천 원씩 지원해 직장인은 1천 원만 내면 되는 방식입니다.
'든든한 점심밥' 사업은 근로지 내 외식 업종에서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 점심시간 결제한 금액의 20% 할인을 월 4만원 한도로 지원하는 방식입니다.
정부는 끼니 해결이 어려운 직장인들의 삶의 질이 제고되고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도 기대된다며 정책 취지를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온라인상에서는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수도권이나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지방 산단 근무환경을 고려했다는 찬성 의견도 있지만, 왜 정부 세금으로 직장인들 밥값을 지원해주느냐는 반대 의견과 함께, 결국 정책 대상인 식당들이 지원하는 금액만큼 가격을 올릴 거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도 수석대변인 논평을 통해 "일자리조차 없어 끼니 해결이 어려운 청년과 노년층이 많은 현실에서, 굳이 직장인 점심을 세금으로 보조하는 게 타당하냐는 근본적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며 내년 지방선거용 포퓰리즘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구성 : 이호건 / 영상편집 : 소지혜 / 디자인 : 임도희 /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